외부오염물질 차단 기능 평가에서 KF94등급이 가장 우수하고, 연예인 마스크로 불리는 폴리우레탄이 가장 미흡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마스크 종합 성능평가 결과(총 83종 대상)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KF등급 보건용 마스크 시험에 적용되는 항목을 중심으로 ▲분진포집효율(외부 오염물질 차단성능) ▲안면부흡기저항(숨쉬기 불편한 정도) ▲순도시험(산 및 알칼리ㆍ색소ㆍ포름알데히드ㆍ형광증백제) ▲고정용 끈 접합부 인장강도 ▲액체저항성 등 총 8개 항목에 대해 진행됐다.
먼저 분진포집효율은 분진 역할을 하는 염화나트륨(에어로졸 입자)과 파라핀오일(미스트 입자)을 마스크 필터에 통과시킨 뒤 통과된 분진을 측정해 외부 오염물질 차단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평가 결과 KF94등급 제품이 염화나트륨 99%(파라핀오일 99%)로 가장 높았고, KF80등급 제품이 염화나트륨 89%(파라핀오일 74%), 비말차단ㆍ수술용 마스크가 염화나트륨 약 67~74%(파라핀오일 약 67~70%)로 뒤를 이었다. 일반마스크 중 일회용부직포마스크의 차단성능은 염화나트륨 64%(파라핀오일 57%)였다. 면 마스크는 염화나트륨 38%(파라핀오일 21%), 망사마스크는 염화나트륨 17%(파라핀오일 6%)로 측정됐으며, 일명 연예인 마스크로 불리는 폴리우레탄마스크는 염화나트륨 13%(파라핀오일 4%)에 불과했다.
안면부흡기저항은 KF94, KF80, 비말차단ㆍ수술용 마스크, 일반마스크 순으로 나타나 오염물질 차단성능이 높을수록 숨쉬기는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외품 마스크(KF94ㆍKF80ㆍ비말차단ㆍ수술용 마스크)는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조사하는 순도시험과 고정용 끈 접합부 인장강도, 액체저항성 시험 등 품질검사에서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오조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마스크 사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시민들의 건강 지키기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번 평가를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마스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