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집에서 떠나는 국내 문학관 여행 어때요

여행은 설렘으로 시작해 설렘으로 끝난다. 여행 전에는 여행지에 대한 설렘으로 밤을 설치고, 여행 중에는 행복함과 설렘으로 가득 차게 되고, 여행 후에는 다음 여행을 기약하며 다시 설렘을 느낀다. 김미자의 ‘함께 떠나는 문학관 여행’(글로세움 刊) 책 제목을 처음 보자마자 재미있겠다고 생각했다. 코로나로 인해 마음대로 여행을 갈 수 없어 책을 통한 문학관 여행이 유독 기대됐다.

이 책은 지은이가 감성 문학관 38곳을 여행하면서 알게 된 여러 가지가 소개 형식으로 기록돼 있다. 지은이가 가기 전의 기분, 감상하면서 알게 된 지식, 전체적인 소감을 진심으로 전해주는 느낌이 들어서 내가 마치 여행을 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가장 기억이 남는 문학관은 ‘오장환 문학관’이었다.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오장환 문학관은 2006년 오장환 시인 생가 옆에 세워졌다. 시인은 1918년에 태어나 1951년에 생을 마쳤다. 33년의 짧은 삶을 살았지만 어느 누구 보다도 열심히 문학 활동을 했다. 고등학생일 때부터 문예반에서 창작활동을 했고 ‘시인부락’, ‘낭만’, ‘자오선’의 동아리에 참여했다. 또 해방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참가했을 만큼 문학에 열정적이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신장병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 것이다. 정지용 시인이 ‘천재시인’이라고 칭찬을 받을 만큼 창작활동에 천재적인 면모를 보였던 시인은 암울한 시대 고통에 신음하는 시를 많이 썼다. 그 짧은 생마저 암울하게 보내신 것에 대해 마음이 아파서 기억에 남았다. 지금 코로나 사태가 심각하기 때문에 어디로 여행을 가지는 못하겠지만 이 코로나 상황이 조금 잠잠해진다면 이 많은 문학관 중 한 곳이라도 가보고 싶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도 지은이처럼 문학관 여행을 가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학 여행이라고 하면 쉼을 얻는 여행이 아닌 지식만을 얻기 위한 여행이라고 생각할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책을 통해 체험한 문학 여행은 그렇지 않았다. 그 어떤 여행보다도 쉼과 자유를 주는 여행이었다. 코로나19로 외출의 제약이 큰 지금, 행복감을 주는 진정한 이 여행에 동참해보는 것은 어떨까.

최예윤 양평 새이레기독고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