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교육의회 온라인 교육정책 토론회
5개 권역 진행… 지역별 제안 정책 공유
지난해 제안사항 중 35건은 정책에 반영
경기도교육청이 이달 4일 도내 26개 지역청소년교육의회에서 온라인 교육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12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5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진행한 이번 교육정책 토론회에서는 청소년교육의회 의장단 대표 학생과 교육청 담당자가 참여해 2019년 정책제안 결과, 2020년 지역별 제안 정책을 공유하고 서로 의견을 나눴다.
지역별로 사전 논의한 제안 사항은 △학생이 주체가 되는 교육과정 △진로교육 특구 지정 제안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진로교육 △꿈의대학 활성화 방안 △학교 밖 체험활동 지원 등 교육과정 다양화 내용이 가장 많았다. 또 2019년에 이어 △학생중심 교칙 개정 △청소년 범죄 예방 및 인권 보호 등 학생이 독립된 교육 주체로 활동하는 제안도 지속됐다.
이밖에도 △평화통일의 날 제정 △기후 위기에 대한 교육 △학습도구 온라인 플리마켓 △학생복합시설 설치 방안 등 교육과 사회변화가 맞닿은 제안도 두드러졌다.
올해 지역청소년교육의회는 26개 의회에서 총 1천294명이 참여해 온라인과 대면 회의를 병행하며 의장단 선출, 상임위원회 구성, 민주시민 소양 교육, 토의토론 교육, 정책제안서 작성 등의 활동을 이어왔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 지역청소년교육의회가 제안한 정책 44건 가운데 △공기정화장치 설치 △학생이 주도하는 공간혁신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조례 제정 △학교운영위원회에 학생대표가 참석해 의견 개진 △몽실학교의 다각적인 활용 방안 △학생이 주도하는 학교폭력 예방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학생 책상 크기의 확대 등 35건은 2020년 정책에 반영했다. △남북학생 교환프로그램 운영 △교육감 선거연령 16세 하향화 △학생수에 따른 보건교사 증원 배치를 포함해 9건은 관계기관 논의와 법령, 예산 등으로 제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태회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장은 “교육정책 토론회는 미래 시민으로서 성장하는 청소년이 직접 학교와 사회를 바꿔 나가는 과정을 체험하는 활동”이라면서 “제안 내용에 귀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토론 내용을 정책 수립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