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 사회불안요인 1위 ‘신종질병’… 2년만에 11배 상승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신종질병’을 꼽은 사람이 2년 만에 11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5월13∼28일 전국 만 13세 이상 약 3만8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자들은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신종질병(32.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지난 2018년 신종질병을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택한 비중은 2.9%이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자 2년 만에 약 11배로 뛴 것이다.

경제적 위험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4.9%로 2년 전보다 2.1%p 늘었다. 반면 범죄 응답은 7.4%p 줄어든 13.2%로 나타났다. 이밖에 국가안보(11.3%), 도덕성 부족(7.4%), 환경오염(6.6%), 인재(5.6%), 계층 갈등(4.8%), 자연재해(3.3%) 순으로 조사됐다.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명 중 1명 꼴인 33.5%였다. 특히 여성의 절반 가까이인 49.8%가 야간 보행 시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유로는 ‘신문·뉴스 등에서 사건ㆍ사고를 접함’이 44.0%로 가장 많았다.

이와 함께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5.2%로 2년 전보다 0.1%p 늘었다. 자살 충동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질환ㆍ장애(19.0%), 외로움ㆍ고독(13.4%), 가정불화(11.9%)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50대는 경제적 어려움을 자살 충동 이유로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50대에서는 절반을 넘는 51.9%로 나타났다. 10대는 성적ㆍ진학 문제(29.7%), 20대는 직장 문제(23.6%), 60세 이상은 질환ㆍ장애(36.8%)라고 응답했다.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평가하는 사람은 50.4%로, 2년 전보다 1.6%p 증가했다.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50.5%로 2년 전보다 3.9%p 줄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