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는 예전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언급되는 사회문제 중 하나다. 물론 고령화 문제 해결방안도 중요하지만 일단 늘어난 노인인구에 대한 정책, 사회적 제도 등 노인을 위한 사회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노인교육은 주로 노인 복지 분야와 노인으로서의 인생설계, 생활에 필요한 지식, 죽음에 임하는 태도, 사회시설의 이용 방법 등 고령화 사회로의 진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요즘 기술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 보니 몇몇 노인분들은 스마트폰 작동, 사회시설 이용 방법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일에 대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런 어려움은 어르신들의 불편함인 동시에 세대 간의 간극을 넓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교육이 필요하다. 지식과 경험을 전수하는 노인 스스로가 선생이 되는 교육 같은 경우에는 그들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다른 세대들이 배울 수 있다. 또한 은퇴 후에도 자신을 사회에 필요한 사회구성원이라고 자각하게 한다. 특히 자존감이 낮아진 노인들도 많으신데 이런 노인교육을 통해 노인분들의 자존감 또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교육은 각각의 노인들과 고령화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노인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는 현실이다. 노인교육 참여기회가 제한된 노년층에만 제공된다는 점, 노인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수립이 미비한 점, 교육내용이 학습자인 노인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교육실시 기관의 입장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나는 노인교육 문제의 핵심이 사회의 무관심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사회가 고령화가 돼 감에도 불구하고 노인교육에 대해 무관심한 것은 큰 문제이다. 노인 세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세대들도 노인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노인 세대와 소통해 노인교육에 대해 정책들을 만들어 간다면 노인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말이 있듯이 노인들의 배움의 기회도 끝이 없어야 한다. 많은 이들이 교육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정책들을 만들어가며 노인교육으로 노인들의 배움에 끝이 없는 세상이 오기를 소망한다.
차혜영 평택 라온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