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에는 판교 테크노밸리와 같은 자족 용지를 공급한다고 한다.
고양 창릉신도시는 판교의 2배, 하남 교산신도시는 1.4배 등 판교보다 더 큰 규모로 공급한다고 한다. 지방에 제2, 제3의 판교를 만드는 구상도 이어지고 있다. 광주역을 판교 제2 테크노밸리와 같은 혁신경제의 플랫폼으로 조성하고, 부산형 판교를 만들기 위해 산업·주거·문화 등 복합인프라를 갖춘 도심융합특구를 조성한다고 한다. 대전과 천안에는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만든다고 한다. 판교가 아닌 실리콘 밸리라 부르지만, 목표는 비슷하다.
왜 판교인가?
2019년말 현재, 대학 캠퍼스만한 판교테크노밸리의 1천259개 기업 매출이 107조원을 조금 넘는다. 부산광역시 전체의 지역총생산 규모가 80조원을 조금 넘는다고 하니, 그 규모를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는 전년대비 20조원이 증가하는 속도로 성장하는데, 올해는 더 높은 성장이 기대된다. 제조업, 도소매업 등 전통산업에서는 생산도 고용도 증가하지 않는다. 판교 테크노밸리의 IT기업과 같은 혁신기업들이 들어와야 생산성과 부가가치가 향상되고 연관 분야의 일자리가 생긴다. 판교와 같은 혁신기업, 연구개발, 기업성장센터들이 지방에 들어와야 지역경제의 구조와 체질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판교 만들기의 성공요인은 혁신인력 모우기다. 이들이 흔쾌히 찾아와서 일하고(work) 살고(live), 즐길 수(play)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 핵심이다. 그래야 이들의 창의성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잘 짜여진 대중교통망, 저렴한 주택, 그리고 24시간 일하고 쉬고 만날 수 있는 쾌적하고 편리한 교류공간, 매력적인 스트리트 등의 환경이 혁신인력과 혁신기업을 끌어들일 수 있는 장소플랫폼이다.
그런데 이런 장소를 만들 수 있는 입지는 흔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일정 규모 이상의 대도시여야 하고 교통망이 잘 갖추어져야 하며 매력적인 정주환경까지 갖춘 곳이어야 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 국토부의 도심융합특구와 혁신지구, 중기부의 스타트업파크 등의 정책은 판교모델을 지방 광역시를 대상으로 우선 추진하고자 한다. 지방거점에 혁신성장의 플랫폼 만드는 일이 지역균형발전의 요체다. 주변 지역과는 대중교통망으로 혹은 교육·의료·문화·복지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복지를 구현해가야 한다.
제2판교논의는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 플랫폼 기업의 수도권 집중으로 지역격차가 커지는 때에 지방의 대도시에 판교와 같은 혁신성장의 플랫폼을 만들고 주변과는 대중교통망과 온라인 서비스망으로 연결하는 압축연계형 개발(compact & network)방식이 절실하다.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