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인천] 개인용 난방기기 사용시 저온화상에 유의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집이나 사무실 뿐만아니라 요즘은 캠핑 등의 야외활동 시 다양한 난방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전기장판, 손난로, 전기난로 등 각종 난방기구를 오래 사용하면 보면 뜨겁다고 생각한 적이 없는데도 나도 모르게 저온화상을 입게 될 수 있다.

평소 화상이란 불이나 뜨거운 것에 접촉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45℃ 내외의 잔잔한 온도로 난방기구를 사용하더라도 피부가 오랜 시간 노출이 되면 저온화상을 입게 될 수 있다.

48℃ 이상 온도에서는 몇 분만 지나더라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핫팩이나 전기장판 등의 난방기기를 사용하면서 저온 화상을 가볍게 생각하는 이유는 열에 노출되면 가려움을 느끼거나 조금 따끔한 증상을 자각하게 될 때 사용을 중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잠을 자는 시간처럼 장시간 잔잔한 열에 노출되면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피부 조직이 손상되고 심하면 괴사에까지 이를 수 있다.

해서 작은 물집이나 발진 등의 가벼운 증상만이 나타났다고 해서 방치하면 상처가 남기 쉬우니 치료를 미뤄서는 안 된다. 또한 물집을 건드리거나 터트리면 상처 부위에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거즈 등으로 외부 자극을 받지 않도록 상처부위를 보호해주는 것이 좋다.

1도 화상은 대부분 화끈거리는 증상을 보이다가 며칠 후 회복된다. 2도 이상의 화상 입게 되면 물집이 잡히는데, 가능하면 터트리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깨끗하게 소독을 해주는 것이 좋다.

물집을 건드리거나 터트린다면 상처 부위에 감염이 발생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상처가 깊어지고 더 오랜기간 치료를 받게 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특히 저온화상은 자각하지 못한 사이에 진행되기 때문에 영유아나 노약자, 당뇨와 치매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열에 대한 감각이 무뎌져 있으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겨울철 많이 사용하는 붙이는 핫팩은 온도가 최고 70℃ 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피부에 직접 부착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옷 위에 붙여서 사용하거나 장갑이나 손수건 등으로 감싸서 쥐고 있어야 한다.

저온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생리식염수로 화상 부위를 씻어내 충분히 식혀준 후 연고 등을 발라주어야 한다. 갑자기 너무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직접 대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얼음을 수건에 감싸 찜질해주는 것은 도움이 된다.

다가오는 추위를 보내기 전에 온열기구에 대한 적절한 사용법과 화상 예방법을 숙지하여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내도록 하자.

홍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인천지부 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