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과 요양시설 등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들 사례의 10건 중 7건은 종사자나 간병인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9일까지 의료기관ㆍ요양시설 등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26건(확진자 812명)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26건 중 17건은 요양병원ㆍ요양시설ㆍ정신병원에서 발생했고, 나머지 9건은 종합병원이나 의원에서 나온 사례다.
감염 경로를 보면 종사자나 간병인으로부터 전파가 시작된 사례가 19건으로 73%를 차지했다. 환자나 이용자 등으로부터 추가 전파가 일어난 경우는 7건(27%)이다.
집단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종사자의 사적모임을 통한 감염 후 시설 내 전파 ▲간병인 교체 시 감염 확인 절차 불충분 ▲신규 입소자에 대한 검사 미흡 ▲유증상자 모니터링 부족 ▲시설 내 공용공간 관리 미흡 ▲출입자에 대한 관리 미흡 등이 지적됐다.
의료기관과 요양병원ㆍ요양시설 등은 기저질환(지병)이 있거나 고령 환자가 많아 감염에 취약한 시설로 꼽힌다. 특히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경우 기저질환을 가진 고령자가 집단생활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탓에 이곳에서 감염자가 나오면 위중증 상태로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또 시설 특성상 1명이 감염되면 대규모 집단발병으로 이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방대본은 이들 기관과 시설에 대해 방역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시설의 집단발병은 감염자뿐만 아니라 중환자 병상과 의료 인력의 소모에도 치명적”이라며 “다른 응급환자와 중증환자의 치료에도 차질을 빚어 사회 전반에 연쇄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시설의 직원들은 위험도가 낮아질 때까지 연말연시에 사적 모임을 자제하고, 시설 내 어른신을 보호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방역수칙을 준수해달라”고 강조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