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남 구리시장이 최근 한강변 스마트시티사업을 구리월드디자인시티를 지우기 위한 사업이란 일부 주장에 대해 2년 전 중국 항저우 ‘AI도시 거버넌스’ 발언 사실로 반박하면서 제기된 지적을 일축했다.
안 시장은 2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최근 구리지역 3개 시민단체가 제기한 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사업 종료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각하 및 직무유기 고발건에 대한 무혐의 처분 사실 등을 전하며 이 처럼 밝혔다.
안 시장은 “최근 법원의 판결은 지난 13년 동안 엄청난 노력과 투자를 쏟고도 구체적인 성과 없이 시민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GWDC사업에 대한 사법적 단죄”라면서 “문득 지난 2018년 12월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AI도시 거버넌스’에 참석, 구리시가 추진하는 지능형 스마트시티 구축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던 게 생각난다”고 시작했다.
이어 “이 자리에서 구리시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미래 지능형 스마트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도권 동북부권 경제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준비 중이며 이것이 기후위기 대응정책인 그린뉴딜과 연계, 시민들이 안전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AI플랫폼 기반이 되는 한강변 스마트시티”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한강변 스마트시티’는 GWDC사업을 지우기 위한 게 아니라, 이미 2년 전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구상했던 사업으로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 고민해 온 구리시의 선도적 미래비전”라고 재차 강조했다.
안 시장은 그러면서 “인간이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공간인 ‘도시’는 계획된 곳이 아닌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곳으로 잘 만들고 못 만들고는 그 다음이다.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또 다르게 진보하는 게 역사의 순리”라면서 “민선 7기 시정방향도 지나 온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더 나은 미래를 기획하는 것으로 충분히 기회와 시간을 주었건만 그 실체와 타당성을 끝내 제시하지 못한 GWDC사업을 신속히 결단하고 주저없이 접었던 결정적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안 시장은 끝으로 “더 발전된 미래에서 ‘기술보다 사람’이 더 풍요로워야 하는 건 건강한 생명체가 좋은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고 새로운 일상 뉴노멀 시대, 선제적인 최고 대응 전략은 그 시대를 앞서가는 과감한 도전”이라며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이미 시작된 앞서가는 ‘그린뉴딜’ 도시 구리시, 똑똑한 도시 ‘스마트시티’ 결과로 놀라운 기적을 만들어 내고 시민 여러분이 고지를 향해 한마음 한뜻으로 참여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