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병상 확보’ 첫 행정명령…이미 대기 중 사망자 속출 중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국적으로 닷새째 1천명대를 이어가면서 ‘병상 대란’이 현실화됐다.

정부는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확보를 위한 첫 번째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이미 입원ㆍ전원 대기 중 사망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어 뒤늦은 조치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0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9일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확보 명령’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각 지자체와 의료기관에 발송했다. 이 공문에는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의료기관 허가 병상 수의 최소 1%, 국립대학병원의 경우 허가 병상 수의 1% 이상을 각각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현행법상 질병관리청장, 시ㆍ도지사 등은 감염병 유행 기간 중 의료기관 병상 등의 시설을 동원할 수 있는데 정부가 처음으로 행정명령 카드를 꺼내 든 셈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조치가 이미 늦었다고 꼬집는다.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위중증 환자는 물론 사망자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0시 기준 경기도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만1천702명으로 전일 대비 249명 증가했다. 사망자는 8명 추가(누적 163명)돼 도내 하루 사망자 최다를 기록했다. 60대 2명, 80대 5명, 90대 1명이다. 사망자 2명은 각각 코로나19 전담병원과 일반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숨졌으며, 나머지 6명은 집단감염이 발생한 요양병원 2곳에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중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로선 병상이 턱없이 부족해 환자 수를 감당하기 역부족이다. 도내 코로나19 치료병원 병상 가동률은 85.9%(793개 중 681개 사용)로 나타났다. 중증환자 병상은 이틀 연속으로 49개가 모두 차 가용 병상이 0개다. 생활치료센터 7곳의 가동률은 50.4%로 남아 있는 생활치료센터 병상은 1천604개다.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병원 대기자는 195명, 생활치료센터 대기자는 125명이다.

전국 상황도 마찬가지다. 중수본 전담 지정을 받지 않았지만 중증환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은 전국 323개이며, 현재 이 중 9개만 입원이 가능하다. 인력과 장비 등이 갖춰진 즉시 가용 병상은 8개에 그친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올해 초부터 코로나19 유행에 대비해 병상 및 의료 대응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제대로 된 준비가 이뤄지지 않은 점이 가장 아쉽다. 중환자 병상만 하더라도 이제서야 불거진 문제가 아니다”라며 “현재 발생하는 확진자 숫자는 이미 공공 영역에서 감당하기에는 넘어선 만큼 지금이라도 정부가 (민간 협조를 포함해 병상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