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현지에 살다 보면 매일 자고 일어나면 달라지는 거리의 변화에 깜짝 놀라곤 한다. 매년 6~7%의 빠른 경제 성장을 보이는 베트남은 2050년까지 GDP 20대 국가 반열에 올라가리라 예측하고 있다.
최근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는 2030 프로젝트에 대한 실질적인 시작과 2050 비전을 선포했다. 주된 내용은 하노이를 스마트 도시로 부상하고자 정치, 문화, 교육, 경제, 행정을 유기적이고 동시적으로 성장시키려는 전략을 설정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하노이 국립경제대학교(VNU-UEB)의 응웬 즉 람(Nguyen Duc Lam)교수는 한국 기업들이 하노이 2030 개발계획과 2050 비전에 대해 이해하고 베트남에 시장에 접근한다면 지속적이며 합리적인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노이 2030 프로젝트는 앞으로 10년 동안 하노이를 중심으로 대중교통, 산업단지조성, 상업지역조성, 대학 기반 시설 마련, 하노이의 외곽도로 개선 등 신도시 건설 계획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이미 베트남 정부는 이를 위해 현재 750개의 건설과 교육 투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와 하노이 시정부는 지난 1년간 코로나19로 주춤했지만 이제 코로나 19가 더 이상 하노이의 경제활동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노이는 스마트하며 그린 시티(Eco City), 그리고 녹색도시(Green City)로 성장하기 위해 3가지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다.
첫째는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한 환경, 둘째는 개발과 보존의 균형, 마지막으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경제개발이다. 지난 십년 간 베트남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인재들을 육성했고, 이제 이들이 베트남의 경제, 교육, 사회, 정치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변화를 만들어 내기 시작하고 있다. 2020년 기준 홍강(紅江)삼각주의 교육대상 학생은 약 180만 명에 달하고 있어 정부는 핵심도시 위주의 투자와 정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하노이와 호찌민 등 주요도시의 교육기관 정원을 4분의 1로 줄이고, 현재 개발제한지역인 화락, 선다이, 수안마이, 푸쉔-푸밍, 축선, 석선 등에 새로운 캠퍼스를 건설하여 첨단 대학 교육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한국의 적지 않은 기업들이 코로나의 여파로 베트남을 떠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의 정책을 잘 이해하고 현지 정부와 잘 합력할 경우 한국의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베트남 내에서 성장하고 발전할 것이라고 믿는다.
고동현 하노이 국립대 외국인 교수 / 동아시아 연구소 수석 연구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