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사업과정에서 사업 주관사(데이터 얼라인언스㈜)와 해당 마을기업 및 주민들이 갈등을 빚고 있어서다.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은 민간기업과 지자체가 함께 발굴한 아이디어로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다.
11일 부천시와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 주관사, 마을기업 ‘상살미 사람들’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9년 5월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에 선정돼 국비 15억원을 지원받아 삼정동 마을기업인 ‘상살미 사람들’을 중심으로 예비사업을 추진했다. 예비사업을 마친 후 지난해 9월부터 본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올해 12곳으로 확대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예비사업을 진행했던 ‘상살미 사람들’이 사업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향후 추진될 다른 지역 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상살미 주민들은 이 사업 참여를 위해 지난 2019년 8월 ‘상살미 사람들’을 설립, 시와 MOU를 맺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상살미 마을은 삼정동 1~2구역 재개발구역으로 지난 2009년 주택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지난 2018년 해제된 뒤 고질적인 주차난을 겪어왔다. 주민들은 이를 해결해보자는 취지로 사업에 참여했다.
하지만 사업 추진과정에서 사업 주관사와 ‘상살미 사람들’ 집행부 간 갈등이 노골화되면서 사업 추진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과 불신 등이 팽배해 왔고 ‘상살미 사람들’이 주관사와 시의 담당 직원 교체를 요구하는 등 사업 재검토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삐그덕대고 있다.
일각에선 ‘상살미 사람들’과 시, 주관사 등의 이면계약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애초 이 사업을 추천했던 ‘상살미 사람들’의 간부 A씨가 주관사 수석연구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상살미 사람들’ 관계자 B씨는 “‘상살미 사람들’은 마을 재건을 위해 사업에 참여했는데 사업의 방향이나 내용도 전혀 알지 못하고 사업에 대한 협의도 없었다”면서 “예비사업 기간에도 수차례 주민들의 불편사항 개선을 요구했는데도 이행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이 사업의 중요한 방향은 주민참여인데도 주민은 포장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더 이상 시와 주관사를 믿을 수 없다”면서 “이 사업이 주민들의 나은 삶을 만들어 주는 것인지 아니면 민간기술 기업들만 배불리는 게 아닌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상살미 마을을 특화된 지역으로 만들고 싶은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재검토를 요구하며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당혹스럽다”면서 “향후 추진될 지역 12곳의 본 사업들에서는 이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