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교문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경기일보 지난해 8월27일자 6면 )는 시공사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이었던 것으로 재차 확인됐다.
지반조건이 취약한데도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당시 중앙사고조사위(조사위) 의견이 보고서를 통해 확인됐기 때문이다.
국토안전관리원은 4일 조사위가 구리시 땅꺼짐 사고원인 분석과 재발방지대책 등을 담은 보고서를 국토교통부 누리집과 지하안전정보시스템 등에 게시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8월26일 발생한 구리 교문동 대형 싱크홀사고 관련, 사고원인 중심으로 한 중앙지하사고조사위 조사내용 일체를 담았다.
주요 내용은 구리 교문동 대형 싱크홀사고는 복합전철 터널공사 상층부 도로에서 발생한 것으로 규모는 직경 16m, 깊이 21m 등에 달했다고 확인했다. 사고 발생 당시, 주변 상수도관 파손이 사고원인으로 부각됐으나 조사위는 수개월 동안의 조사를 통해 땅꺼짐 발생 5분 후 상수도관이 파손된 사실을 확인, 상수도관 파손 때문이 아니었다고 적시했다.
이는 조사위와 별도로 구리시가 자체 사고조사반을 편성, 확인한 것과 궤를 같이한 대목이다.
보고서는 조사위가 4개월 동안 터널공사설계와 시공 중 지반조사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한강 지류 범람으로 퇴적층이 두껍게 분포하고 지하수 유동이 활발, 지반 변화가 심한 사실도 적시했다. 특히 땅꺼짐이 발생한 구역은 풍화암과 모래지반 등이 각각 분포하고 있어 지반조건이 취약했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당시 조사위는 시공사가 공사 중 획득한 타사의 시추자료, 지하수 과다 유출 인지, 굴착면 전방 수평지반 조사 등을 통해 불량한 지반조건을 예측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면서 시공사 측의 부주의를 지적했다.
한편 사고원인으로 확인된 별내선 복선전철 터널공사는 현대건설 등이 시공을 맡고 있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