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에서 만 65세 이상 고령층이 제외된 가운데 정부는 2분기에는 이들의 접종을 마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15일 만 65살 이상 연령층의 예방접종을 당분간 불허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백신의 유효성에 대한 추가 임상 정보를 확인한 뒤 접종 방안을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식품의약안전처는 지난 10일 AZ 백신을 허가하면서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65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기재했다. AZ 백신의 고령자 관련 임상 통계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AZ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이 확인됐고, 중증질환 및 사망 예방효과도 확인돼 중증 진행과 사망 감소라는 예방접종 목표에 부합하는 백신이라는 점을 명백히 했다”고 했다.
그러나 논란이 된 65세 이상 연령층 접종여부에 대해선 “65세 이상 연령층에서 백신 효능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입증이 부족한 데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고령층에 대한 백신 효능 논란은 국민과 의료인의 백신 수용성을 떨어뜨려 접종률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추진단은 고령자 예방접종을 2분기 안에 끝낼 계획이며 ‘11월까지 집단면역 형성’이라는 기존 목표엔 차질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적어도 2분기에는 접종을 시작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3순위까지 넘어가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면서 “노바백스 및 나머지 백신에 대한 공급 일정이 확정되면 이런 부분들을 종합해서 65세 이상에 대한 접종계획을 확정해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같은 정부의 결정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AZ 백신에 대한 불신을 높일 여지가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불안을 달래는 의미에서는 기다릴 수 있다고 보지만, 오히려 지금의 조치가 백신에 대한 불신을 높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