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기자노트] 살처분 둘러싼 ‘검은 커넥션’, 진상조사 시급하다

김은진기자
김은진기자

매년 겨울철이 되면 경기도내 축산농가들은 불안에 떤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이 활개를 치기 때문이다.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면 농민들은 애지중지 기르던 가축을 하루아침에 땅에 묻어야 한다. 발생 농가뿐만 아니라 3㎞ 이내 농가의 가축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모두 땅에 묻힌다.

이런 가운데 국가적 재난으로 농민들이 피눈물을 흘리는 사이 공무원들은 ‘검은 돈’으로 인해 미소를 짓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현장에서 만난 살처분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ㆍ군 공무원들과 살처분 업체 간 유착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다들 모른 체하고 있으나 명절과 생일에 선물을 보내고, 억대의 리베이트가 오고 간다는 소문도 들린다고 전했다.

대부분의 계약이 수의계약으로 진행되는 살처분 작업 특성상 물증 없이 섣불리 의혹을 제기했다가 자칫 공무원들에게 ‘찍히면’ 업계에서 매장될 수 있어 하소연할 곳도 없다고 토로한다. 이들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공무원들이 가축전염병이라는 국가적 재난을 이용해 사욕을 채우는 것이다.

더욱이 살처분 현장에서 SOP 규정에 어긋나는 불법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집중취재 연속보도 후 특별취재반에 다양한 제보가 들어왔고, 제보에는 근로자들이 동물권을 무시한 채 살아 움직이는 닭을 파쇄기 안으로 집어넣는 영상도 포함됐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농민은 가축전염병 발생 시 2차, 3차 피해를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지자체와 업체를 믿는 것뿐이라고 했다. 농민의 간절함이 담긴 방역작업에서 부정행위가 절대 발생해선 안 되는 이유다.

경기도와 수사기관이 해야 할 일을 명확하다. 농민들의 피눈물 속 은밀한 거래가 오가는지, 업체 간 공정 경쟁을 막는 검은 유착이 있는지, 도내 살처분 현장에서 이뤄지는 불법행위가 사실인지 진상을 밝혀내야 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공정성 유지가 책무인 공직자들이 공정성을 훼손하고 공직을 사익추구 수단으로 악용하는 부정부패는 망국의 길이었음은 역사가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신속한 수사로 모든 의혹을 소상분명하게 드러내고 발본색원해야 한다.

특별취재반=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