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원폭피해자의 악몽] 경기도·정부, 원폭피해자 지원 나섰다

관련 위원회, 1년만에 회의 재개... 道피해자협, 예산 추가 확보 논의

지난해 1월 단 한 차례 열린 뒤 개점휴업상태였던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가 이르면 이달 중순 다시 문을 연다.

지난 2019년 경기도의회에서 원폭피해자 지원 조례가 마련됐음에도 지원이 실행되지 않았던(경기일보 1일자 1ㆍ2ㆍ3면) 가운데, 이번에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원폭피해자협의회는 최근 경기도청에서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회의 재개와 위원회를 통한 피해자 지원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1일 밝혔다.

회의에는 박상복 경기도원폭피해자협의회장과 정정웅 한국원폭피해자협회 서울지부장, 이대수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부위원장(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그간 중단됐던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회의 개최 시기를 서둘러 확정해달라며 지원대책 마련을 위한 도 차원의 노력을 당부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1월6일 경기도의회에서 제1차 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부위원장 호선, 경기도 원폭피해자 지원계획 수립방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이후 제2차 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개최는 2020년 상반기 중으로 계획했지만, 1년여 간 공식적인 지원위원회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또 회의에서 경기도원폭피해자협의회는 경기복지재단이 진행하는 실태조사와 관련, 현재 책정된 4천만원의 예산으로는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기 어렵다며 예산 추가 확보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도내 원폭피해자들의 건강검진과 치료를 위해 경기도의료원 등 경기도의 의료시스템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아울러 이들은 생활고에 시달리는 원폭피해자들을 위한 사회복지 혜택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박노극 도 복지정책과장은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 회의를 3월 중에 열기로 경기도원폭피해자협의회 등과 협의했다”며 “실태조사를 통한 지원 방향이 나오면 내년부터 관련 예산도 수립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역시 한양대학교와 함께 한국 원폭피해자들의 유전학적 피해를 연구하고, 현 실태 조사 등을 진행하는 등 원폭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경기ON팀 = 이호준ㆍ송우일ㆍ최현호ㆍ김승수ㆍ이광희ㆍ손원태ㆍ윤원규기자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