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이라면 경기지역화폐라고 하는 지역화폐를 한 번쯤 써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필자는 재난지원금을 받으려 본 카드(앱)를 만들어서 쓴 적이 있는데, 이 카드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에 대해 기쁜 마음으로 검색사이트에서 찾아본 기억이 있다.
타 연재에서 보았던 지역화폐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중 하나는 일본에서도 지역화폐라고 하는 것이 사용되는데 ‘에히메의 야와타하마’ 지역에서의 지역화폐의 시작 일화다. 해당 지역의 청년들, 지역 젊은 사업자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내건 프로젝트인데,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게 민간단체와 지자체의 거버넌스와 연대에 의해 추진됐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지역화폐의 장점을 찾아볼 때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경제활성화 및 접촉으로 인한 다양한 교류의 발생이다. 또한 지역의 재생을 목표로 하는 자립형 지역개발을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이는 지금도 세계의 수많은 도시로부터 주목받는 부분이라고 한다.
예술계에 종사하는 필자는 이런 지역만의 긍정적인 교류에 예술가들을 슬쩍 끼워넣고 싶다. 코로나로 인해 침체된 경기 및 어려운 도민들을 위한 긴급생활비 지원도 너무나 절실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심리방역의 일환으로 예술가들에게는 직접적인 지원, 도민들에게는 힘들지만 잠시 잊고 쉬어 갈 수 있는 문화의 쉼터를 우리 일상 곳곳에 살아있는 각각의 예술가에게 위로받고 상생, 정당하게 구매하는 것이다.
경기도에도 다양한 기관들이 소외계층과 문화예술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복지를 위해 힘을 쓰고 있다. 문화누리카드라고 하는 경기문화재단 산하 문화나눔센터에서 진행하는 본 사업은 문화소외계층에게 할인 제공이 가능한 가맹점을 이용하여 문화예술 및 체육, 관광에 관련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술인뿐만 아니라 모두가 상생 될 수 있는 취지로 누구나 누릴 수는 없지만, 약자를 위한 방법들로 예술가들의 재능이 묵혀지는 것이 아닌 올바르고 적절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예술가의 자기만의 브랜드 가치는 버텨내었다고 스스로 지켜지지 않는다. 그러기에 살아남을 방법들로 지켜줘야 한다. 외로워도,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항시 긍정적 영향력을 전파하고자 노력하는 예술가들에게 이번 연도는 백신파워와 함께 행복한 한 해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천지수 티엔아트컴퍼니대표·수원시청년정책자문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