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경기도 난임 부부…“출산 ‘할 수 있게’ 지원해야”

난임. 연합뉴스
난임. 연합뉴스

경기지역 난임 부부가 늘어나고 있다.

출산 ‘이후’ 지원되는 출산장려금 등은 출산율 제고와 무관(경기일보 2일자 1ㆍ3면)한 만큼 정책의 초점이 출산 ‘이전’으로 옮겨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특정 질병코드 진료 현황을 집계한 결과, 경기도 난임(불임) 현황은 2017년 5만8천648명, 2018년 6만4천866명, 2019년 6만5천687명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수원에 사는 결혼 4년차 임성연씨(43ㆍ여)는 휴직까지 하며 2년째 체외수정을 시도 중이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있다.

임씨 부부는 난임 검사 40만원, 정자 채취 70만원, 난자 채취 110만원, 수정 및 배아 이식 90만원 등 시술마다 수백만원에 달하는 비용을 써왔다.

정부의 난임 지원사업이 있지만, 소득기준ㆍ연령 등 제한이 걸린 데다 시술 횟수가 늘어나면 지원금이 줄어든다.

더구나 임씨 부부가 선택한 신선배아 방식의 경우 회차당 최대 지원금이 50만원에 불과하다.

임씨는 “난임 시술은 한 번에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결국 아이를 낳고 싶어도 ‘돈 문제’라는 현실의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며 “서울시는 정부 지원과 별개로 지자체 차원의 난임 지원사업이 있다던데 경기도에서도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2017년부터 경기도한의사회와 협약, 난임 부부에 대한 한의약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다만 최대 인원에 제한이 있고 난임 검진 등에 대한 지원은 없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자 난임 부부들은 경기도민 청원을 통해 도 차원의 지원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용인ㆍ고양ㆍ화성 등 7개 지역에서 올라온 11개의 난임 지원 청원이 진행 중이다.

김지훈 수원시의사회 회장(수원시 인구정책위원)은 “초혼 연령이 높아지고 맞벌이 등으로 출산이 미뤄지는 시대적 변화를 감안할 때 난임을 조기 발견해서 치료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난임 검진 지원에 초점을 맞춰 출산을 원하는 부부들의 출산 확률을 높이는 게 인구정책에도 효율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경기도 건강증진과 관계자는 “최근 산전 검사를 비롯해 난임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검사에 대한 지원 등을 검토 중”이라며 “도민들을 위해 어떤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지 다각도로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