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수도권 지역민 혐오’로 까지 치닫고 있다.
의정부시에 사는 A씨는 최근 경상북도 양산시에서 겪은 일만 생각하면 울화통이 터진다.
양산의 B 대학병원에서 자신과 딸의 출입을 금지했던 일 때문이다.
둘째 아이 출산을 앞둔 A씨는 안정을 취하고자 지난 1일부터 부산시에 내려와 생활하던 중 첫째 아이가 지난 10일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맞은 후 열이 나기 시작, 급하게 B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그러나 병원은 입장이 어렵다고 A씨 모녀를 막았다.
’코로나19가 확산 중인 경기도에서 왔다’는 이유였다.
A씨는 열이 펄펄 끓는 딸을 데리고 병원 밖에서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고양시민 C씨도 얼마 전 대구시 모 술집에서 ‘문전박대’ 당했다.
지난 주말 지인이 살고 있는 대구시를 찾은 C씨는 ‘손님들과 게임을 할 수 있는 술집’이라는 호기심에 40분 동안 줄까지 섰지만, 입장은 불가능했다.
술집 직원이 “주민등록증 주소가 서울ㆍ경기ㆍ인천으로 돼 있으면 들어올 수 없다”며 막아섰기 때문이다.
C씨는 “줄 서서 대기하는 다른 손님들과 술집 직원이 나를 ‘코로나19 바이러스’ 취급하는 것 같았다”며 “지역 차별까지 해가면서 방역하는 것이 의미가 있나 싶다”고 불평했다.
앞서 코로나19로 인한 차별 사례는 동양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있었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 거주 중인 국민들 사이에서 ‘동양인 혐오증’ 표현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호소한 바 있다. 이 같은 차별이 동서양, 나라를 넘어 국내 지역에서까지 이어지는 모양새다.
의학계에서는 A, C씨가 겪은 ‘수도권 차별 방역’은 효과 없이 갈등만 불러온다고 지적한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방이라고 환자가 없는 것도 아니다. 누가 누구를 감염자라고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단순히 생활 지역만 가지고 감염을 의심, 예방하려고 하는 행위는 실제 방역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