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지는 집단감염으로 국내 코로나19의 400명대 발생 빈도가 잦아지는 양상이다. 정부는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대응 수위를 26일 확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확진자 수가 오히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2주 재연장에 무게가 실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30명 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 500명 중 1명꼴로 확진자가 발생한 셈이다. 특히 지난해 12월21일 5만명을 넘어선 이후 급증했다.
경기지역 확진자도 전날 147명이 발생하는 등 확산세가 여전하다.
전날 도내 주요 집단감염 사례를 보면 수원시 영통구의 사회복지관에서 1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 서울 송파구의 한 택배사 물류센터와 관련 도내 확진자 4명이 추가됐다.
정부는 26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나서지만 재연장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수가 2월8일과 9일 200명대를 기록한 이후 6주 넘게 300∼400명대를 오가는 불안한 방역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대응 단계 하향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전문가들도 재연장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2주 특별방역대책기간 등의 단기적 대책에 의존하는 방법은 문제”라며 “현 상황에 맞는 새로운 거리두기 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