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4월이 되면 지역 농업인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풍년 농사를 기원하고 한 해 농사를 시작하는 시점에 물길을 열어 농업용수 공급의 시작을 알리는 ‘통수식’을 개최한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를 생략하는 추세다. 따라서 올해 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에서는 물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언택트 통수식’을 개최하고, 원격제어가 가능한 9개 지사의 중앙관리소(농업기반시설물 관리자가 감시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사 및 지소에 구축된 공간)에서 동시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본부 및 각 지사 사무실에서 통수식에 비대면으로 참여할 수 있어 위드 코로나 시대에 효과적인 소통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업기반시설 원격제어는 2004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을 통해 가능해졌다. 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관할 저수지, 양배수장, 수문 등 405개소에 자동화 시스템이 설치돼 23개 중앙관리소에서 실시간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현장 시설물에 설치된 계측장비 및 CCTV로 수위, 유량 및 영상정보가 수집되어 중앙관리소로 전송되고, 관리자는 중앙관리소에서 표준운영프로그램 화면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펌프를 가동하거나 수문을 개폐하는 등 원격제어를 할 수 있다. 현장 여건과 실제 용수 이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취합되는 각종 계측정보는 통합정보 시스템 TOMS(Tot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물관리담당자에게 웹,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돼 집중호우 등 재난위기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농경지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4월 언택트 통수식을 시작으로 농어촌공사는 경기지역 6만1천380㏊의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예정이다. 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111개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94.4% 수준으로 올해 영농급수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시설 사전정비 및 안전관리 등을 통해 지역 농업인들이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
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