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경기를 보고 있으면 종종 목격되는 상황이 있다. 박빙의 상황에서, 혹은 위기에 빠진 팀의 감독이 타임 아웃을 요청해서 선수들에게 작전 지시를 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진 선수들을 독려하는 경우다.
타임 아웃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바로 ‘흐름의 전환’을 꾀하는 것이다. 스포츠 경기는 흐름의 싸움이기 때문에 양 팀 모두 경기의 흐름과 주도권을 잡고자 고도의 심리전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한팀이 경기의 흐름을 잡게 된다면 상대팀은 이를 뺏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시도하는데, 감독·선수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통제력 높은 전략 중 하나가 바로 타임 아웃을 부르는 것이다. 야구에서 투수가 의미 없이 견제구를 던지거나 코치가 타임을 부르고 마운드를 방문해서 별다른 지시 없이 투수의 몸 상태만 체크하는 경우도 상대방의 타이밍을 뺏거나, 상대팀으로 넘어가려는 흐름을 잡아두기 위한 심리전의 형태라 볼 수 있다.
실적에 대한 압박감, 무한 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 어찌 보면 스포츠 상황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스포츠의 타임 아웃 전략이 줄 수 있는 시사점은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혹시라도 지금 내 삶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가고 삶의 흐름이 다른 무언가에 의해 끌려가고 있다 생각된다면, 짧은 시간이나마 과감하게 타임 아웃을 불러 보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타임아웃을 부를 수 있을까? 물론 휴가를 내서 여행을 떠나 주변 환경을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만, 현실적으로 그 기회가 많지 않다. 감정노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앨리샤 그랜디(Alicia Grandey) 교수는 감정노동 전략 중 하나로 ‘주의집중 분산’ 전략을 소개했다.
이 전략은 마라톤 선수들이 숨이 터질 것 같은 고통을 참기 위해 심폐 상태보다는 외부 풍경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과 같은 원리인데, 특정 (필요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자극들을 주변에 의도적으로 배치해 휴식이 필요하거나 생각의 재정비가 필요할 때, 그 자극들을 바라보면서 본인의 감정상태를 조금 더 생산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하려는 전략이다.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사진이나 동기 부여를 높여 줄 문구들, 초심을 떠오르게 해줄 물품들을 업무 공간 주변에 배치해 두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작은 노력이지만 이러한 시도들을 이어 간다면 수동적으로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것을 넘어서, 본인에게 필요한 감정들을 스스로 불러일으키며 적극적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이예훈 한국외대 글로벌스포츠산업학부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