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노인을 지켜라!… 도시 곳곳 도사린 위험 ‘메스’

전통시장 밀집 태평로 구간, 차량 혼잡·노인 북적 사고 다발

사고다발지역 중 한곳인 태평로 구간 제일시장 앞.

의정부시, 고령자 교통사고 예방 총력전

의정부 구도심인 의정부동 송산 교차로에서 파발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태평로는 왕복 4차선 도로다. 옛 버스터미널이 있었던데다 경기북부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통시장인 제일시장을 비롯해 의정부시장, 의정부 청과야채 도매시장이 위치해 있다. 많은 차량과 사람이 오가는 곳으로, 특히 화물차, 오토바이가 많이 다니고 시장을 찾는 어르신들이 많다. 이곳 태평로 구간은 고령자 교통사고 취약지역이다. 실제로 지난해 5월 파발 교차로 부근 음식점 앞 횡단보도를 건너던 70대 노인이 오토바이에 치이는 등 고령자 교통사고가 지속되고 있다. 사고가 빈발하면서 태평로 구간 7개 횡단보도에 신호등을 설치하고 중간분리대로 무단횡단을 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럼에도 고령자 교통사고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의정부시는 보행교통사고 ‘제로’를 목표로, 실버존, 사고위험지역 시설개선, 관련 캠페인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옆에서 무단횡단하고 있는 시민들.

■태평로 구간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빈발

태평로 89번길 A의원 앞 횡단보도 부근. 이곳은 제일시장 통닭 골목길 진입로와 생선가게 등이 있어 항상 붐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가 있는데도 무단횡단을 한다. 태평로 89번 길에서 태평로 90번 길로 차량이 나가도록 중간분리대를 설치하지 않은 공간을 이용해 건너다닌다. 시장에서 나오는 화물차량과 사람이 겹쳐 아찔 한 순간이 많다. 이곳에서 송산 교차로 방향으로 한 블럭 뒤 태평로 82번 길 부근 교차로 일대도 사고 다발지역이다. 시장통로에다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어 혼잡하다. 이곳 정류장은 버스베이가 없어 시내버스가 2차선 차로 위에 정차할 수밖에 없다.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버스가 정차하면 한꺼번에 몰려든다. 사고위험이 상존한다. 지난 2017~2019년 사이 의정부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다발 15개 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모두 72건. 이중 2명이 목숨을 잃고 43명이 중상을 입었다. 전체의 62%가 중상 이상이다. 한 택시 운전자는 “파란 불인데도 시장 앞 횡단보도는 혹시 튀어나오는 사람이 없을까 여간 조심스럽지 않다”고 우려했다.

버스베이가 없는 태평로 제일시장 앞 정류장.

■보차도 구분없는 보호구역 이면도로, 노인 안전 위협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통행이나 속도를 제한하고 시설을 갖춘 노인보호구역(실버존)도 교통안전지대는 아니다.

의정부동 의정부노인종합복지관, 대한노인회 의정부시지회, 민락동 송산 노인복지관 나눔의 샘, 신곡노인종합복지관 등 모두 5개 시설주변에 실버존이 있다.

30㎞h 속도제한 표시판을 비롯해 노면 노인보호구역 표시, 방지턱, 무인교통단속장비 등이 있다.

하지만 의정부동 노인종합복지관 출입구 도로인 경의로 85번길 1차선 이면도로 등 실버존은 항상 불법주차차량으로 차량통행 조차 힘들다.

대한노인회 의정부시지회와 노인대학, 노인취업센터가 있는 태평로 74번길 실버존도 일부구간만 실버존 표시가 돼 있다. 화물차량 등 차량통행이 많은 A수산 앞은 표시조차 없다. 노인보호구역 시작점과 해제지점도 애매하다. 노인복지시설 한 관계자는 “보호구역내 이면도로 대부분은 보차도 구분이 없다. 불법 주정차까지 성행해 각종 사고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시장을 찾은 인파로 붐비고 있는 태평로 인도 모습.

■실버존·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교통환경개선

의정부시민 7명 중 한 명은 65세 이상 노인이다. 오는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될 정도로 노인인구는 빠르게 늘고 있다. 노인교통사고 안전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의정부시는 올해를 원년으로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에 나선다. 올해 3억6천여만원을 들여 보호구역과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교통환경개선 등 9개 사업을 추진한다.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단속 강화와 함께 눈에 잘 띄도록 도로 바닥 노인보호구역과 속도제한 표시를 노란색으로 하고 빨간색으로 포장하기로 했다. 의정부 노인종합복지관, 대한노인회 의정부시지회, 나눔의 샘, 신곡노인종합복지관 등 4곳이 대상이다. 밤에도 눈에 잘 띄도록 의정부 노인종합복지관 등 3개소에 LED 실버구역 표지판를 세우고 20여 개 보안등, 투광기도 설치한다. 운전자들이 시야 확보와 보행자 돌발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보호구역과 사고다발지역 횡단보도 차량 정지선을 2~5m 정도 최대한 후퇴시키로 했다. 또 횡단보도 앞뒤 20m지점에 지그재그 형태의 서행구간도 만든다.

또 노인들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올해 시범으로 의정부노인종합복지관 부근 횡단보도에 스마트 횡단보도도 신설한다.

노인회 의정부시지부 주변 보호구역 모습. 노면에 보호구역 표시가 없다.

■노인들을 교통약자로 우선하는 교통문화 조성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고령운전자교통사고는 지난 2019년 3만3천여 건으로, 2015년에 비해 44%나 늘었다. 의정부 운전면허소지자 28만7천명(2020년 말) 중 10%인 2만8천여 명이 65세 이상 고령자다. 의정부 택시운전자 1천600명 중 37%인 590명이 어르신이다. 고령자의 교통분담율은 승용차가 37%로 높다. 시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을 유도하고 고령운전자를 고려한 교통안전 인프라 확충과 고령자를 교통 약자로 배려하는 교통문화 조성도 함께 하기로 했다. 경찰서와 협의해 제일시장 등 사고 다발지역에 예고신호 및 차로 운영 표지판도 세우고 교차로구간은 빨간색으로 포장해 경각심을 주는 등 사고예방에 나선다.

최상진 의정부시 첨단 교통시설팀장은 “고령자를 위한 교통안전시설물을 개선하면서 교통약자인 노인들의 안전보행과 운전을 위한 교통문화조성도 중요하다. 유관기관과 시민단체와 협력해 교육 및 홍보 등 시민 문화운동을 펼쳐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노인보호구역 이면도로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줄지어 서 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