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연구활동 학습공동체-道교육연구회] 4. 경기도초등역사교육연구회

나누고 경험하고 성장하는 연구회… 역사를 史로잡다

▲ 교육과정 연계 근현대사 유적 답사 모습. 경기도초등역사교육연구회 제공
▲ 교육과정 연계 근현대사 유적 답사 모습. 경기도초등역사교육연구회 제공

‘초등학생들은 역사 공부를 왜 어려워할까? 중·고등학생과 같이 외우는 역사 공부를 해야 할까? 어떻게 하면 초등학생들이 역사에 흥미를 갖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경기도 곳곳의 초등 선생님들이 비슷한 고민을 갖고 모여 만든 경기도초등역사교육연구회는 2013년 첫발을 딛은 이후 여러 차례 우수연구회로도 선정이 되었다.

■ 역사전문성 강화 연구를 위한 방구들 모임 : 초등역사교육의 내실을 다지다

매월 1회 정기적인 연구모임으로 연구위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TED 발표, 독서토론, 역사수업 사례나눔, 역사교육 자료 개발 등을 하고 있다. 민주화를 주제로 동학농민운동과 광주민주화운동 수업 사례, 평택지회의 학생들의 그림을 활용한 문화유산 지도와 컬러링북을 제작하여 지역사 교육을 지원했다.

■ 역사전문가 초청 열린 강의 : 전문지식을 함께 나누다

매월 1회 역사와 역사 교육 전문가를 초빙하여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였다. 이익주 교수의 고려사 특강과 지역사 교재 전문가 송하인 교사의 특강은 교실 현장에 맞는 알찬 내용으로 경기도 초등 선생님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 역사교육 관련 문화체험활동 : 보고 경험하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현장체험활동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직접 체험하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탐색했다. 작년에는 근현대사를 주제로 정동과 덕수궁일대를 탐방하였으며 우리궁궐지킴이로 활동하는 연구위원이 직접 궁궐을 해설하였다.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장소는 독서토론으로 간접 체험 활동을 하고 교실에 활용하고 있다.

■ 학교 안팎 역사 교육 지원 : 역사교육을 성장시키다

초등역사교육연구회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과서 개발 및 심의에 참여하였으며, 2020년에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100주년 기념 초등역사교육 자료와 지역 향토사 및 독립운동사 자료를 개발·보급하였다. 또 직무연수, 전문적학습공동체, 수업컨설팅 등으로 실제 학교의 역사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다양한 주제로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면서 어느덧 9년차를 맞이하고 있는 경기도초등역사교육연구회는 2021년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와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새로운 교육환경에 걸맞는 다양한 교육연구 활동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다.

김혜린 하길초 교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