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총 2천299개의 어항이 있다. 이중 113개는 국가어항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지자체가 관리하는 지방어항과 소규모 항ㆍ포구는 지자체의 열악한 재정여건상 유지·보수가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어촌뉴딜사업은 이러한 어촌ㆍ어항을 현대화하고 어촌지역 경제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2019년부터 해양수산부가 주관해 추진해 온 사업으로써,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시행하거나 농어촌공사 등 관련기관이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행하고 있다.
어촌뉴딜은 국가주도의 개발방식이나 형식적인 주민의견 수렴에 그치지 않고 사업 단위체별로 지역협의체(주민, 지자체, 전문가 등)를 통한 정기적인 워크숍과 성공사례 공유 및 협업, 체계적인 거버넌스 활성화 등 주민참여 개발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현장체감형 사업발굴 및 컨설팅, 맞춤형 주민교육, 갈등해결 도모 등 공동체 역량강화 활동을 통해 물리적 개발뿐만 아니라 어촌의 사회적 자본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듯 낙후된 선착장 등 어촌어항의 생활형 SOC를 개선해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어업활동 증진과 해상교통 편의 개선을 도모하며, 지속 가능한 어촌공동체를 목표로 어촌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경기본부에서도 2019년 후포항 1곳, 2020년 고온항 등 6곳, 2021년 대명항 등 4곳을 위ㆍ수탁받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우리 공사에서는 경기어촌특화지원센터, 경기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를 함께 운영 중으로 어촌뉴딜 사업의 사전준비단계-사업시행 단계-사후관리 단계 등 단계별 전략과 고령화·과소화된 어촌사회의 귀어귀촌 전략까지 함께 검토하여 효율적인 사업목표 달성에 노력하고 있다.
어촌뉴딜을 통해 어촌공동체가 행복해지고 어촌만이 가진 어촌다움을 회복하기 위해서 지역주민, 지자체, 전문가단체 등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