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현안, 답은 현장에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인천의 30년 고통인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을 종료하는 쓰레기 독립선언을 했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환경부가 지난해 제시한 ‘발생지처리 원칙’을 토대로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을 하나씩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가 자체 소각장과 매립장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 ‘친환경 자원환경시설 건립 기본계획’을 통해 광역소각장 신설과 현대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해당 지역 주민과 정치권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자체매립지 후보지인 영흥도 주민들의 반대의견이 다소 진정되고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난 것이다. 박남춘 시장이 직접 주민과 소통을 통해 얻은 소중한 성과로써 그 의미를 깊게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시대에 지역현안의 해결은 주민과 소통하면서 그 해답을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보여주는 실제 모습이다. 그리고 책임지는 자세로 최고 책임자가 직접 나서는 적극 행정도 중요하다. 박 시장은 취임하면서 ‘시민이 시장’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면서 시정에서 시민의 의견 수렴을 강조했다. 시정의 작은 이슈에서부터 시민이 원하지 않으면 추진하지 않고 끝까지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면서 때로는 결정이 늦어지기도 했다. 제도적인 일환으로 소통담당관을 신설하고 공론화·갈등관리위원회를 확대·개편하여 지역 이슈에 대한 갈등의 효과적인 해결을 뒷받침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에 대해 시민들은 ‘시민의 수용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정원칙에 많은 공감을 했고 기대도 컸다.

그러나 기대보다는 여러 과정에서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실망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안타깝다. 위원회의 적극적인 활동과 성과보다는 전문성 부족으로 지역 현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박 시장은 지난 20일 폐기물 매립지 후보지인 영흥도를 방문해서 주민간담회를 개최하며 현장 소통에 직접 나섰다. 영흥 쓰레기매립장건설반대투쟁위원회 관계자와 주민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폐기물 매립지인 인천에코랜드의 조성계획과 영흥발전 계획을 설명했고 의견을 청취했다.

시장의 직접 소통에서 주민들의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은 매우 고무적이며 기대를 갖게 한다. 모든 행정에 시장이 직접 나설 수는 없지만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그 성과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장행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지방자치시대에 행정은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하고 책임지는 자세로 주민에게 다가가는 적극 행정이 최선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