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덮친 교실… 역사 선생님 ‘의기투합’ 通하는 원격수업 열공
2021년 도단위 연구회로 재지정된 경기도중등역사교육연구회는 다양한 역사 수업과 평가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회장 이제실 교장(용인 상현고)을 중심으로 경기도내 40명 이상의 중등 역사교사들이 모인 자발적인 연구 모임이다.
2010년 발족한 경기도중등역사교육연구회는 경기도 역사교사들의 구심점으로서 매해 참신하고 시의적절한 과제를 발굴해내며 공동연구 및 자료 개발을 통해 역사 교육의 발전을 위해 이바지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0년에는 경기도교육청 8대 분야 체험학습 정책 추진에 맞춰 지역과 연계한 근현대사 중심의 역사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소개했다. 각 지역 연구위원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터전에서 지역의 문화재와 박물관을 직접 체험하며 배움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험학습 자료를 교육과정과 연계해 기획했다. 이렇게 완성된 ‘지역과 연계한 알고 보고 느끼는 역사체험 자료집’에서는 코로나 19의 상황을 반영하여 다양한 비대면 수업 활동 자료와 게임 형식의 수업 사례를 제시했다.
또한 코로나 19로 변화된 교육 환경에 발맞추어 블랜디드 러닝에 따른 중등 역사과 성장중심평가 사례집을 제작·보급하는 데 앞장섰다. 연구위원들은 ‘코로나 19로 학교에 학생이 없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교사가 어떻게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을 하고, 학생의 성장을 평가할 것인가’라는 고민을 함께 나누며 수업과 평가 사례를 공유하였다. 그 결실로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수업, 학생의 변화와 성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담긴 사례집이 구성됐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2년차를 맞이해 블랜디드 상황에서 배움중심수업을 새롭게 고민하기 위해 온택트(On-tact) 배움중심수업을 각 지역 팀별로 연구하고 있다. 지역 단위에서는 용인과 평택의 지역연구회를 중심으로 지역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활동성과는 하반기 연합활동을 통해 공유될 예정이다.
연구회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역사과에서 논의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과 새로운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공모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아울러 역사과의 꽃 답사 활동과 함께 역사교과에서의 평가와 일제잔재 청산 활동, 공공역사와 구술사, 재외한국학교 경험나눔, 역사교과에서의 다문화 교육과 통일교육, 예술 교육 사례 나눔을 정기적인 월례 강좌와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나눌 예정이다.
경기도중등역사교육연구회는 학생들이 과거의 내용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보다 나은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닐 수 있도록 끈끈한 유대감 속에서 따뜻한 온기를 가진 학습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장수민 간사 상현고등학교 교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