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일상의 삶이 무너졌다. 생존의 위협에 처한 이들이 주위에 너무 많다. 자연은 기후위기와 새로운 전염병으로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다. 지역신문 역시 위기에 처해 있다. 외부적으로는 경제위기로 말미암은 광고비 축소, 포털 사이트의 역할 증가, 스마트폰 사용 등 미디어 환경의 변화 때문인 독자의 감소, 코로나19로 사업의 위축 때문이다. 내부적으로는 비판, 감시의 역할이 약화됐고 보도 자료 및 단순 중계보도에 치우쳐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독자의 관심을 얻으려면 지역성 강화, 탐사, 기획 보도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지역신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지역신문지원특별법을 제정한 이유다. 지역신문지원특별법은 서울중심 여론의 독과점을 완화하고 지역불균형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최소한의 법적 제도적 장치로, 지역신문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국민적 의사를 반영한 것이다. 한시법이었던 법을, 두 차례 연기해 2022년 기한이 종료된다. 지난 4월24일 한시법을 상시법으로 전환하는 내용이 국회 문체부를 통과했지만 기재부의 반대로 법사위 통과가 좌절됐다.
현재 신문 활성화를 위한 제안으로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의 공영포털과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이 지난달 28일 발의한 일명 미디어 바우처 법을 들 수 있다. 정부 광고비가 1조1천억원 정도인데 공정성과 공공성을 강화한 공영포털, 열린 포털을 만들어 공영포털 가입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고 그 금액을 좋은 기사, 언론사에 후원하자는 제안이다.
경기도에서 이영주 경기도의원이 제안해 2019년 ‘경기도 언론 공공성 확대를 위한 언론 기본소득 실현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도에서 미디어바우처와 공영포털을 먼저 제안했지만 좌절됐듯이 정치적 판단과 각자의 손익계산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결국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지난 4월 선포한 좋은 언론 만들기 4대 입법 과제 중 지속가능한 지역언론 지원제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경기지역 언론의 지속가능한 방안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독자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제 지역언론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가 나서야 한다. 경기도에 조례를 제안한다. 도민이 단순한 뉴스 소비자가 아닌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경기도민 기자학교’를 개설해 학계, 시민단체, 현직 기자의 강의를 수료한 도민들이 자신들의 삶과 생활의 문제를 기사화해 지역신문에 보도해 공론화할 수 있는 도민 기자를 양성해야 한다. 또한 독자의 입장에서 신문을 평가하는 모니터 요원의 글을 지면에 반영해야 한다. 경기도는 예산을, 지역신문은 지면을 지원해 기존의 독자위원회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언론이 돼야 한다. 염려되는 점과 구체적인 실현 방안은 추후 토론회나 공청회에서 보완되기를 바란다.
이 어려운 상황에서 ABC협회에서 유가부수 발표 결과(2020년) 경기일보가 전국 일간신문 163개 사 중 33위로 경기도 1위를 차지한 것을 축하한다. 1위의 무게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정론직필에 정진하기 바란다.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