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선생님 모여...‘유쾌한 배움터’ 연구
아이들이 신나게 놀이를 하면 할수록 교사의 고민은 깊어진다. 교사는 교육자의 역할을 잘하는 것일까? 우리 아이들 정말 잘 놀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것일까?
항상 모든 배움은 나의 부족함, 갈증에서 시작된다. 우리의 연구회 또한 그 갈증에서 시작됐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시작으로 유아교육에는 놀이중심교육이라는 새롭고 거센 바람이 일어났다. 우리 연구회는 그 바람을 타고 현장에서 놀이중심교육과정을 어떻게 잘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는 유치원 선생님들과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함께 놀이중심교육과정이 실현되는 교실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연구하는 연구회로 2020년 처음 지정되고 올해 재지정된 교육연구회이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교사가 지녀야 하는 교육 철학,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 방법 등에 대해 전문가를 초빙해 교육을 진행했다.
이와 더불어 연구회에서 직접 운영해봤던 놀이중심교육과정 현장사례를 공모연수로 구성해 운영했다. 교육 참여는 경기도 내 모든 공사립학교 및 교육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열어놓아 연구회원뿐 아니라 관심 있는 모든 선생님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했다.
연구회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특히 교사들의 요구가 가장 높은 내용을 중심으로 기후변화대응 등 미래환경교육을 위한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생태환경교육, 유아와 아동 평가를 위한 놀이기록과 관찰, 코로나19로 활발하게 진행되는 놀이중심 원격교육 및 가정 연계 교육,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함께 운영할 수 있는 놀이중심 유초연계교육 분과로 세분화해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실운영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장에서 부딪치는 수많은 교육적 고민은 혼자서 해결하기에 벅찬 것들이 많다. 사실 우리 연구회는 교육을 중심으로 뭉친 공동체이면서도 자주 모이는 온라인 모임에서 각자의 고민을 허심탄회하게 터놓고 이야기하며 서로에게 위로가 되고 격려가 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아이들을 위해 더 좋은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동력을 얻는다.
우리는 무엇보다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 과정이 우리 교사들에게도 가장 좋은 교육 과정일 것이라 믿으며 우리 아이들이 유아기를 거쳐 아동기로 성장하듯이 분리된 아이를 기르는 것이 아닌 모두의 아이를 함께 기르는 마음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함께 협력해 현장 중심 아동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별아 간사(오남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