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김진표 민주당 부동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송영길 민주당 대표의 주택공급 브랜드인 ‘누구나집’ 프로젝트를 통해 인천(검단 4천225가구), 안산(반월 500가구), 화성(능동 899가구), 의왕(초평951가구), 파주(운정 910가구), 시흥(시화 3천300가구) 6개 지역에 1만785가구를 2022년 초 분양하겠다고 발표했다.
‘누구나집’은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인천시장 재직시절 제안한 프로젝트로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가 6~16%의 돈을 내고 10년 거주(3년 공사기간 포함하면 13년)를 한 뒤 최초 가격으로 분양을 받을 수 있는 주택제도다.
임대 거주기간 동안 집값이 너무 올라 10년 후 막상 분양받는 시점이 되었을 때 주변시세 80% 정도도 부담스러운 가격이 돼버린 분양전환임대주택의 문제를 보완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주고 싶다.
분양전환시점에 발생한 시세차익의 10% 정도를 사업시행자가 가져가는 점도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기존 공공임대는 시세차익의 대부분을 LH 등 사업시행자가 가지고 간 것에 비하면 계약자들의 이익보호를 위한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됐다고 할 수 있겠다.
주변임대료시세의 80~85% 수준, 임대료상승률은 2.5%로 한다고 하지만 전세제도에 익숙해 있는 다수 임차인들 특히 생애 최초, 신혼부부 등 사회초년생들한테는 80% 수준의 월세도 부담된다. 월세보다는 분양전환 시점에 상환하는 조건으로 10년 장기 저리 중도금 대출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누구나집’이 성공적인 주거문화로 자리를 잡으려면 품질, 지역, 일관성 3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이름만 바뀐 분양전환 임대아파트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으려면 민간아파트 품질수준으로 개발돼야 하고, 저소득층을 위한 전용 40㎡ 이하가 아닌 가족이 거주할 만한 규모인 방 3, 화장실 2의 전용 59㎡ 아파트는 돼야 한다.
이번에 발표된 경기, 인천 6곳은 주택이 부족한 지역이 아니다. 지금 주택문제의 근원지는 서울이다. 시범적으로 경기도부터 시작됐다면 앞으로는 서울에 ‘누구나집’이 매년 1만 호 정도는 공급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부동산정책의 고질적인 문제인 정책의 일관성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대통령과 지방자치단체장, 국회의원이 바뀌더라도 서민주거안정을 위해 필요한 공급정책이라면 10년이 지나도 계속 추진이 돼야 한다.
국민은 누구 브랜드 주택에는 관심이 없다. 생애 최초나 신혼부부 무주택자들이 돈 걱정, 집 걱정 안 하고 잘 살 수 있는 주택만 잘 공급해주면 된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