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인천시의회의 상임위원회 중 하나인 기획행정위원회가 행정안전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소관 업무인 시민안전, 소방, 자치경찰, 기획·재정 등은 그대로다.
당초 위원회의 이름에 들어가있던 ‘기획’이라는 단어가 폼은 나지만 위원회가 시민 안전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명칭에서부터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컸다. 의원수가 많은 서울시의회는 행정자치위원회, 기획경제위원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등이 있다. 경기도의회는 기획재정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가 존재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의원수가 적은 인천시의회는 상임위원회 1곳에서 기획과 안전을 모두 맡고 있다. 오랜 고민 끝에 위원 모두 ‘기획’이라는 폼을 버리고 ‘안전’이라는 실리를 찾기로 했다.
우리 사회가 안전에 큰 관심을 가진 계기에는 지난 2014년 4월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빼놓을 수 없다. 그렇다면 세월호 참사 전후로 우리 사회는 얼마나 안전해졌을까.
지난 2019년 9월 ‘인천시 4·16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 및 안전사회를 위한 조례’를 대표발의했다. 이 조례는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있는 관련 사업을 구체적으로 정함과 동시에 희생자 추모를 통한 인간 존엄과 안전사회를 위한 시민 의식 고취에 필요한 사항을 정했다. 시장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치유와 회복, 희생자의 추모와 안전의식 증진에 관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도록 했다.
필자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4월16일을 아예 추모를 넘어 안전문화제가 크게 열리는 날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사실 이 조례를 대표발의한 것은 ‘추모’보다는 ‘안전사회’에 더 방점을 뒀는데, 이 같은 조례 취지가 잘 살려지지 않고 있다. 안전은 기억에서부터 출발한다. 1999년 중구 인현동 호프집 화재, 세월호 참사, 그리고 올해 3월18일 중구 신광초등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에서 화물차에 의한 어린이 교통사고까지. 우리가 잊어버릴만 하면 이 같은 사건·사고들이 찾아오고 있다.
인천시는 민선7기 들어 그동안 소방에서 담당하던 안전 분야의 업무를 아예 나눠 소방과 별도의 조직인 시민안전본부로 개편하는 등 안전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겪으면서 그 비중은 더 커지고 있다.
특히 다음달부터면 인천형 자치경찰제가 본격화한다. 지난달 17일 인천시민의 안전과 행복을 책임질 ‘인천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출범하기도 했다. 자치경찰위원회는 시장 소속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생활안전, 교통, 여성청소년, 경비 등 자치경찰 사무에 관한 주요 정책의 심의·의결, 자치경찰 사무 감사 및 고충심사, 사무조정 관련 경찰청 협의 등 업무를 맡는다. 특히 안전한 인천을 구현하기 위해 어린이 안전을 최우선의 치안행정 시책으로 선정했다.
시민안전본부, 소방본부, 자치경찰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면서 인천시민들이 현실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도시 인천’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여기에 이름을 바꾼 행정안전위원회의 활약에도 많은 시민이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명칭만 바뀐 것이 아니라 실질적 시민안전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시정부의 다양한 정책과 시민안전본부, 소방본부, 자치경찰이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 내는 위원회로 거듭날 것을 약속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