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남양주 ‘소각장 갈등’ 해결…4년 만에 사업 재추진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에코커뮤니티사업을 중단한 지 4년 만에 재추진키로 했다.

두 도시가 함께 사용하는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용량을 늘리는 사업이다.

5일 구리시와 남양주시 등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구리자원회수시설 옆에 하루 100t 처리 규모의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내용으로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된다.

앞서 구리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200t 처리규모로 토평동에 조성돼 지난 2001년 말부터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 구리·남양주지역에서 발생한 생활쓰레기를 소각한 뒤 잔재물은 남양주에 매립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설 노후화로 하루 소각처리용량이 120t으로 줄었다.

더구나 두 도시는 택지개발 등으로 인구가 늘면서 쓰레기배출량도 늘었고, 자원회수시설 증설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두 도시는 지난 2013년 자원회수시설 용량을 늘리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으나 지난 2017년 당시 구리시장 반대로 중단됐다.

이후 지난 2018년 6월 지방선거로 구리시장과 남양주시장이 바뀌었고, 구리시는 기존자원회수시설 증설계획에 더해 보수·이전방안까지 검토했다.

하지만 이미 남양주시는 단독으로 자체 시설을 계획했고, 이 과정에서 협약 유효여부, 사업 중단 책임 등을 놓고 구리시와 갈등을 빚었다.

그 사이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 매립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됐고 소각시설 증설 필요성이 대두돼 에코커뮤니티사업을 다시 추진하게 됐다.

구리시ㆍ남양주 관계자는 “환경부 중재로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올초부터 실무협의를 진행했다, 최근 에코커뮤니티사업 재추진에 합의했다”며 “조만간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리ㆍ남양주=김동수ㆍ하지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