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10여년 동안 수도요금 자가검침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이용하는 주민이 거의 없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12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6년부터 주민이 수도계량기를 직접 확인, 인터넷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수도요금 자가검침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이용자는 부천 전체 가구의 0.0015%인 470가구만 이용하고 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1회당 500원의 수도요금을 감면해 주고 있다.
시는 검침업무 과중 등으로 일터를 떠나는 수도검침원들이 늘어나자 이들의 업무를 줄여주기 위해 10여년 전부터 이 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다.
현재 시 전 지역에 수도계량기 12만8천여대가 설치돼 운영되고 있으며, 수도검침원 30명이 검침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이면 수도검침원 3명이 퇴직할 예정이어서 충원이 되지 않을 경우 검침원이 27명이 나머지 인원의 업무도 떠안아야 한다.
중동 주민 A씨는 “수도요금 청구서가 오면 무조건 내고 있다. 수도요금 자가검침제도가 있다는 건 이번에 처음 알았다”고 지적했다.
원미동 주민 B씨도 “수도검침원이 갈수록 감소하는 만큼 주민이 직접 수도계량기를 확인하는 제도가 효율적이긴 하지만, 제대로 알고 있는 주민들이 많지 않은 만큼 대책을 마련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소사동 주민 C씨는 "인력을 동원해 수도검침을 하는 것은 구시대적 행태로 인력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침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원격검침 등 다양한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주민이 잘 이용하지도 않는 자가검침 대신 온라인 기반의 원격검침을 도입하는 방안도 모색해 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부천시의회 정재현 의원도 “시가 검침하기 전 문자를 발송, 자가 검침을 유도하거나 현재보다 더 쉬운 편리한 방법을 찾아 주민이 간편하게 자가검침을 할 수 있도록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수도요금 자가검침제도 참여율이 저조한 게 사실이다. 향후 홍보를 강화하고 자가검침방법의 편리성 등 개선방안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부천=김종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