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네자릿수를 기록하는 등 4차 대유행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최대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1주간(7월18일∼24일) 국내에서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브라질, 인도 등 이른바 주요 4종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는 1천412명(누적 6천16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1천412명 중 델타형 변이는 1천242명(88.0%)이다. ‘알파형’(영국 변이)은 168명, ‘베타형’(남아공 변이)과 ‘감마형’(브라질 변이)은 각 1명이다. 감염경로를 보면 1천233명이 국내감염, 179명이 해외유입 사례다. 특히 국내감염 사례 중 델타 변이는 1천80명(87.6%)으로, 알파형(153명)의 약 7배에 달했다. 국내에서 변이에 감염된 8명 중 7명은 델타 변이에 감염됐다는 의미다. 최근 유행 상황만 보면 델타형 변이는 이미 국내에서도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천365명(누적 19만1천531명)이다. 지난 7일(1천212명)부터 벌써 3주째 네자릿수를 이어갔다. 경기도에서는 전날 하루 동안 375명이 확진돼 누적 확진자는 5만3천839명으로 늘었다.
이에 정부는 비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도 이날부터 3단계로 일괄 격상했다. 아울러 오는 30일부터는 유통산업발전법상 3천㎡(약 909평) 이상인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에 대한 출입명부 관리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중대본은 “사회적 거리두기 1ㆍ2단계에서는 현행대로 방역 예방 활동과 개별점포 중심으로 출입 관리를 시행하되 3단계부터는 안심콜, QR코드 등 출입명부 관리 도입을 의무화한다”면서 “이를 통해 감염에 대한 역학조사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