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한강하구를 시민들에게

한강 수변공간은 어느 지역에서나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다양한 문화·레저 산업의 장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한강의 가치는 단 한 곳, 김포시에서만 발현되지 못하고 있다. 김포시는 아름다운 한강하구를 품고 있지만, 전 지역에 걸쳐 한강변이 철책으로 막혀 있고 각종 군사지역 규제를 받고 있어 활용도가 극히 낮았다.

국방부는 2000년대에 해강안 접경지역들의 철책 제거를 진행해 일산ㆍ파주의 강안과 동ㆍ서해안의 철책 일부가 철거되었다. 김포시 역시 이를 추진하여 △2006년 김포대교~일산대교 구간 △2019년 일산대교~전류리포구 구간의 철책 제거를 승인받았다.

그러나 2021년 현재까지 철책 제거가 완료된 구간은 1㎞도 되지 않는 전호야구장~김포대교 구간뿐이다. 가장 큰 이유는 2006년부터 추진된 김포대교~일산대교 구간이 소송에 휘말려 무려 8년 동안 법적 다툼을 하는 상태이다.

최근 김포시청과 육군17사단, 해병2사단은 소송 구간을 제외한 △일산대교~전류리포구 구간과 △안암도유수지~초지대교 구간의 철책을 우선으로 제거하기로 합의하였다. 애초 군은 소송 종료 후 일괄 철거를 주장했지만, 국회의원들과 시청, 시민단체 등이 강력하게 요청한 결과 전향적인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일산대교~전류리포구 구간 철책 철거는 8월 중 착공해 6개월가량 소요될 예정인데, 2중 철책 중 한 줄을 제거하여 시민들을 위한 자전거 도로 등을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한강변 접근조차 쉽지 않았던 기존에 비해 수변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강변 쪽의 철책 한 줄은 △과학화경계시스템의 효과 검증 필요 △소송 중인 관련 장비들의 보존을 위해 김포대교~일산대교 구간의 법적 다툼이 종료된 이후에 추진하기로 하였다. 과학화경계시스템은 사람이 직접 순찰하는 대신 CCTVㆍAIㆍ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인데, ‘헤엄귀순’, ‘노크귀순’ 사건으로 그 실효성이 의심받는 만큼, 최소한의 보안을 지킨 상태에서 개방해야 한다는 데에 합의한 것이다.

김포시는 그동안 접경지역으로 많은 규제 속에서 발전을 제약받아왔는데, 이는 반대로 보면 김포가 남북평화교류의 길목이 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번 철책 제거 사업이 그 물꼬를 트고, △한강의 평화적 이용 △수변공간 활용을 통한 시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