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시작한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이 그칠 줄 모르고 있다. 정부의 방역 4단계 조치로 모든 일상과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 여러 분야의 피해는 날로 심각해지고 그 인내가 한계에 이르고 있다. 의료진의 누적된 피로와 부족으로 중증환자 치료가 위험 수준에 달하고 있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인한 소상공인의 피해는 폐업이 속출하는 등 극에 달해 붕괴 직전에 처한 상황이다. 가장 피해가 큰 자영업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충분하지 못한 수준에서 더 버틸 희망이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상공인의 아름다운 선행은 어두운 코로나의 긴 터널에서 작은 희망의 불씨를 비추고 있어 위안이 된다. 피해가 누적돼 극심한 상황에서도 소외계층을 위한 피자를 무료로 선물하는 등의 선행과 의료진의 노고를 위로하는 작은 선행들이 이어지는 모습에 숙연하게 경의와 고마움을 전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가장 피해를 많이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선행이기에 더욱더 그들 앞에서 작아지게 되고 우리들의 자세를 가다듬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맞이한 위기 극복에 누구나 동참하면서 함께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지혜를 보여주고 있음에 모두가 감탄할 수밖에 없다.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고통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방역에 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K-방역은 모범적이라는 칭송을 받으며 피해를 최소화해 왔다. 4차 대유행이 시작됐지만, 실제 통계에서 인구 비례 사망자 수와 확진자 수가 100위권 밖에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방역을 할 수 있는 근원은 우리 국민의 적극적인 동참과 소상공인의 눈물겨운 희생임이 분명하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선제 강화로 일상을 자제하고 생업을 위협하는 수준의 소상공인 희생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 국민은 국가적 재난을 슬기롭게 극복한 값진 경험이 있다. IMF 외환 위기 때 온 국민이 나서서 장롱 속의 금반지 등을 모아 아픔을 같이 했다. 공직자들이 나서서 급여를 자진 반납해 공적 자금의 조성에 앞장서기도 했다. 이러한 운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짧은 기간에 외환 위기를 극복한 성공적인 사례로 기록됐다. 위기 속에서 단합하고 앞장서는 우리 국민의 저력이 발휘되는 아름다운 모습이며 자랑스러운 국민성이다. 다시 한번 우리의 자랑스러운 국민성이 그 저력을 발휘할 때다.
생계의 위협 수준에 이르고 있는 자영업 소상공인의 피해를 당사자와 정부만의 문제로 여겨서는 안 된다. 그들의 희생으로 K-방역이 성공하고 이를 통해서 코로나 피해가 가벼운 공직자와 봉급생활자들이 동참할 때다.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갈증 해소 차원의 수준도 되지 못한 상황이다. 그나마 유지하고 있는 일상의 수준이 소상공인의 희생 대가임을 명심하고 조금이나마 함께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