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무도회(Masquerade)는 중세 유럽 귀족들의 이벤트였다. 가면을 쓰고 사교춤을 췄다. 가면의 종류도 각양각색이었다. 1268년 베네치아에서 비롯됐다. 날렵한 연미복과 화려한 드레스 차림으로 모였다, 그리고 갖가지 가면을 뒤집어쓰고 밤새 즐겼다. 그렇게 얼굴을 가리면 과연 위선도 감출 수 있었을까.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에서 가면무도회를 자주 열었던 군주였다.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에도 ‘가면무도회’란 제목의 작품이 있다. 부하의 아내와 사랑에 빠져 몰락한다는 리카르도 백작 이야기가 얼개다.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가면무도회만 열리면 펼쳐졌다. 점잖던 신사들이 무척 대담해지고, 심지어 음탕해졌다. 가면으로 얼굴을 가린 탓이었을까.
▶같은 제목의 팝송도 있었다. 카펜터스(Carpenters)의 ‘This Masquerade’다. 1972년 발표됐다. “이 어리석은 게임을 계속한다면 우리는 과연 행복해질까”로 시작된다. 호소력 있는 목소리로 “이젠 아무래도 좋다. 이 가면무도회에서 헛되이 시간을 보낸다”라고 끝난다.
▶지구촌은 지금 가면무도회 중이다. 사교춤만 안 출 뿐, 하루하루가 가면무도회장이다. 마스크를 쓴 채 생활한 지 햇수로 2년도 넘었다. 기괴한 고정관념들도 만들어졌다. 가까운 지인 외에는 사람을 알아볼 수 없다. 눈으로만 사람 얼굴을 인식할 수 있을까. 타인의 감정과 속내도 알아내기가 어렵다. 마스크 쓴 얼굴이 더 친숙하다. 화장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상대방의 말에 눈으로 대충 반응해도 된다.
▶마스크의 잠재적인 심리학은 복종이다. 입과 코를 가리는 행위를 따르겠다는 명령에 동의한다는 의미다. 아예 마스크 끼는 게 더 편하다. 착각일까. 마스크를 벗으면 얼굴이나 표정이 노출될 것 같아 두렵다. K방역 성공 원인은 투명하고 민주적인 방역시스템이다. 역설적으로 마스크 착용이 서로 간의 거리를 더욱 멀게 만들고 있다.
▶어쩌면 마스크를 벗는 날 서로의 얼굴을 쉽게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겠다. ‘This Masquerade’의 노랫말이 오버랩된다. “서로 대화하는 게 무섭다” 어쩌면 우린 종말이 명쾌한 게임에 헛되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마스크를 벗을 ‘가까운’ 미래가 미심쩍어서 하는 말이다.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