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5일은 제76주년 광복절이다. 올해 광복절은 일요일이라 다음 날인 16일을 대체 휴일로 쉬게 된다. 코로나19로 하루하루 지쳐가는 국민에게는 단비 같은 휴식이 될 테다.
76년 전 그날도 한반도의 온 국민이 만세를 외치며 즐거워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선 공포에 떨며 고통에 몸부림치던 이들이 있었다. 원자폭탄 피해자들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일본은 항복하고 한반도는 해방을 맞았지만, 무려 10만여명의 한국인들이 원자폭탄에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피해자 대부분은 나라가 힘이 없어 일본으로 강제징용된 이들이다. 피해자들은 방사능에 노출된 몸을 이끌고 조국으로 돌아왔지만, 많은 이들이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한 채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뎌야 했다.
그로부터 76년이 지났다. 직접 폭탄 피해를 입은 1세대뿐만 아니라 그들의 후손인 2·3세대까지 유전적 질환으로 병마에 고통받고 있는 등 외로운 싸움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반가운 소식들이 연이어 들려 온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원폭피해자 3세까지 지원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도는 경기도의료원을 통해 진료비와 종합검진비 등을 할인해 주고,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피해자가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심리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박물관과 미술관 입장료 감면 등 다양한 문화혜택도 지원한다.
대통령 선거 경선을 치르고 있는 민주당 대선주자들 역시 원폭피해자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약속했다. 피해자들을 위한 지원사업 확대는 물론, 추모묘역 및 위령탑 건립 등 기념사업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모두 나라가 힘이 없어 강제징용돼 원폭 피해를 입은 만큼 끝까지 나라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최근 대통령을 해보겠다고 나선 한 후보가 “국민의 삶을 국민이 책임져야지 왜 정부가 책임지나”라는 발언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제76주년 광복절이다. 국가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것과 함께, 원폭피해자들에게도 사회적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이호준 정치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