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가 교육부의 재정 지원대상에서 탈락한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교육부의 평가 방식에 대한 의혹도 커지고 있다.
인하대는 이번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에서 인천지역 대학 중 유일하게 전체 대학 하위 27%에 포함돼 정부의 재정 지원대상에서 탈락했다. 부실대학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썼다. 인하대는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3년간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전국 10위권 대학이 하루 아침에 부실대학으로 추락하는 셈이다. 당연히 인하대와 지역 정치권 등의 반발이 거세다. 인천시의회는 25일 교육부의 공정한 재평가를 촉구했다.
조명우 인하대총장과 박남춘 인천시장, 더불어민주당 소속 허종식·박찬대 국회의원 등은 24일 시청에서 긴급 간담회를 갖고 교육부의 평가 기준과 객관성을 믿을 수 없다며 범 인천 차원의 대응 각오를 밝혔다. 국민의힘 인천시당도 이날 ‘교육부의 인하대 폄훼 저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교육부가 인하대에 주홍글씨를 새긴 만큼 300만 인천시민과 함께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인하대 학생들과 동문들은 교육부에는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국민신문고에 관련 글을 올리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하대는 물론 여·야 정치권, 인천시 시민단체 등 지역사회가 교육부의 이번 평가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사안은 인하대 한 사학의 명예 차원이 아니다. 인천의 앵커 교육기관인 인하대가 지역 산업의 성장과 모멘텀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 차원에서 교육부의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바로 잡아야한다. 만에 하나라도 교육부의 ‘탁상평가’로 인하대와 인천시민이 함께 수십년간 쌓아 온 지역의 교육 앵커가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인하대는 이번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하지만 이 항목은 인하대가 교육부의 3년 전 같은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이며, 3년만에 낮은 점수를 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 인하대측의 주장이다.
교육부가 사실상 같은 평가에서 엇갈린 결과를 내 놓았다는 것이다. 교육계와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정 평가 집단이 작성한 보고서가 평가 결과를 좌지우지 한다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이 같은 의혹과 주장 등에 대해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 평가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문제를 인정하고 이제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 반대로 평가 결과에 문제가 없다면, 평가 결과서를 공개하고 모든 의혹을 해소하면 될 일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