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점 돌파시 강등권 탈출 유력…정규 라운드서 넘기면 파이널A 진출 가능성
프로축구 K리그1의 경ㆍ인 연고 시민구단들이 리그 잔류를 위한 ‘승점 40’ 고지 도달에 총력을 기울일 태세다.
K리그에 승강제가 도입된 2013년 이후로 38경기 기준 강등 마지노선은 승점 40이다. 지난 8년간 승점 40을 넘기고 강등된 팀은 2016년 승점 43으로 11위를 차지한 뒤 승강 플레이오프서 강원에게 덜미를 잡힌 성남이 유일하다.
올해부터 K리그는 다시 정규 33라운드를 치른 후 1~6위는 파이널 A, 7~12위는 파이널 B로 나눠 각 5경기 씩 파이널 라운드를 치른다. 그동안 파이널 A 막차를 탄 6위 팀들이 33라운드까지 적게는 승점 42, 많게는 49를 확보했었던 만큼 파이널 라운드 개막 전까지 승점 40을 확보한다면 파이널 A에 합류해 강등 우려를 떨칠 수 있다.
19일 현재 경ㆍ인지역 시민구단 중 수원FC와 인천은 강등권에서 일단 비교적 안정권으로 비켜난 상태다.
24경기를 치른 7위 수원FC는 승점 31로 강등권의 11위 서울(24점), 12위 광주(22점)에 7점 이상 앞서 유리하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후반기 치열한 순위 싸움 속 자칫 연패라도 당한다면 순식간에 좁혀들 수 있는 격차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원FC는 지난 주말 포항에게 덜미를 잡히며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인천도 예년 같은 기간 대비 4~5승을 더 거두고 있어 일단 강등 걱정은 덜었다. 다만 파이널 A행을 확정짓지 못한다면 파이널 B에서 마지막까지 탈 강등 경쟁을 벌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남은 정규라운드서 파이널 A행에 도전하겠다는 계산이다.
반면, 10위 성남(승점 25)은 겨우 강등권에서 탈출했으나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상황이 못된다. 현실적으로 파이널 A 진출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다, 공격력이 신통치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승수를 쌓지 못하더라도 최대한 패배를 줄여 무승부 승점 1점이라도 계속 쌓는 게 중요하다.
‘K리그1 잔류’라는 한 가지 꿈을 쫓고 있는 경ㆍ인지역 시민구단들이 전반기 부침에서 완전히 벗어나 잔류에 성공할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이다.
권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