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와 남양주시 양 도시 간 이견으로 한동안 답보상태에 놓였던 ‘구리ㆍ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이 다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향후 25년 동안 폐기물처리에 대한 안정적 토대를 마련, 쓰레기 대란 우려 없는 도시 위상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31일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안은 지난 2012년부터 양도시간 추진해 온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으로 구리자원회수시설 부지 내 당초 협약된 소각폐기물량이 증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 노후시설을 현대화하고 부족한 소각 및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시설을 확충하는 내용을 담았다.
시는 남양주시와 지난 2000년 쓰레기 처리시설 운영에 따른 광역협약을 맺은 후 2001년부터 구리시는 소각장을 건립, 양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소각 중에 있으며 남양주시는 별내면에 매립장을 만들어 구리시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잔재를 매립하는 광역환경정책의 모범사례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소각시설 최초 설치 후 20년 이상 경과한데 따른 노후화와 소각효율 저하로 인한 시설 현대화 필요성은 물론 인구증가에 따른 생활쓰레기 소각시설 용량 부족 및 특히 2025년 종료 예정인 수도권매립지 등으로 폐기물 처리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양 지자체는 고민 끝에 안정적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를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등 위해 다시 손을 맞잡고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을 추진, 이번에 협약을 체결하는 결실을 맺게 됐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이번 광역협약으로 향후 25년간 안정적인 폐기물처리 시스템 구축의 발판을 마련했고, 환경부 국비를 20% 더 받아 안정적으로 시 재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주민편익시설인 축구장과 전천후 풋살장을 추가 설치해 구리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김형수 구리시의회 의장도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함께하는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설치 협약에 적극적인 환영의사를 밝히면서 지원을 약속했다.
구리ㆍ남양주=김동수ㆍ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