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기후변화 위기, 해양이 해법이다

IPCC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다.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려고 1988년에 공동 설립한 국제기구다. 이 기구에서 8월 초 공개한 보고서가 충격을 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40년 지구 평균 온도가 19세기 말 산업화 이전보다 1.5℃ 높아진다는 것이다. 3년 전 예측치보다 10년 이상 앞당겨졌다. 폭염과 가뭄, 폭우, 홍수 등 전례 없는 기상이변 현상들이 증가할 것이다. 지난해부터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 비해서도 기후위기는 더 근본적이고 장기적일 것이다.

인류의 재앙이 시작된다는 경고가 현실이 되고 있다. 남태평양 국가의 일로 치부되던 수면상승도 남의 일이 아니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2050년 이후부터 인천, 평택 등 서해안 지역의 도시들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위기가 먼 미래가 아닌 현재, 먼 나라가 아닌 여기, 남의 일이 아닌 나의 일이 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해법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구적인 것을 요구한다. 그런 의미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해양과 기후의 통합적 접근은 바람직해 보인다.

해양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 자원이자 공간이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는 상황에서 해양은 기후변화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가스, 물 및 열을 대기와 교환하고, 세계 곳곳에 재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양은 온실효과에 의해 생산된 열의 90% 이상을 흡수하고, 인간에 의해 생산된 이산화탄소의 25%를 흡수함으로써 지구온난화를 방지한다.

건강한 해양이 기후 시스템의 원활한 기능에 기여하는 핵심 요소다. 해양과 기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해양정책을 통해 기후변화를 억제하고, 기후정책을 통해 해양생태계를 보전해야 한다. 해양과 수산에 기후를 통합해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기후변화에 답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다름 아닌 이산화탄소 농도, 바다 온도, 열대성 폭풍, 빙하의 양, 긴급사태 등이다. 모두 해양과 긴밀하게 얽혀 있다.

이번 대선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안들이 언급되고 있다. 구호적 공약이 아닌, 과학과 산업을 포괄하고 자연과 인간을 연계하는 실효적인 대안들이 나와야 한다. 그런 점에서 해양과 기후에 대한 정책을 통합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대통령 직속의 국가 해양기후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또한 해양과 기후에 대한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현행 해양수산부와 기상청을 통합하는 방안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동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