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예상대로 유튜브 대선으로 가고 있다/또 다른 예상, 유튜브 센 쪽이 이긴다

유튜브 대선이 될 거란 예상은 맞았다. 특정 후보 지지 유튜브가 범람하고 있다. 굳이 상호를 돌려 말할 필요 없다. 유튜브다. 수년전만 해도 일부의 취미 활동이었다. 전체적 수준 역시 형편없었다. 이게 완전히 달라졌다. 그 기폭제 역할을 하는 것이 이번 대선이다. 후보가 어딜 가든 따라간다. 기존 방송은 할 수 없다. 평론 수준도 나름대로 한 단계 높아졌다. 여기에 주류 인사들의 출연까지 늘어나고 있다. 급변한 영향력이다.

특히 특수를 누리고 있는 곳이 국민의힘이다. 이미 당내 경선 과정에서 유튜브 파워가 발휘됐다.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는 유튜브가 특히 그랬다. 노골적으로 윤 후보를 지지했다. 경쟁 상대 후보에 대한 매몰찬 공격을 서슴지 않았다. 윤 후보가 가는 곳마다 실시간 중계를 이어갔다. 독자층이 급격히 늘었다. 언제부턴가 시청률 총량에서 기존 방송을 뛰어넘었다. 윤 후보 승리에 기여한 바가 크다. 당내 모두가 인정하는 얘기다.

이제는 당내 리스크로까지 등장했다. 이준석 대표와 보수 우파 유튜브 충돌이다. 이 역시 당내 경선부터 형성됐던 앙금이다. 유튜버들이 이 대표의 공정성을 불신했다. 유승민 당시 후보를 밀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 불신이 윤석열 후보 당선 이후로 이어졌다. 때마침 나온 이 대표의 ‘파리떼’ 논란도 한몫했다. 이 대표가 ‘윤 후보 주변 하이에나와 파리떼’라고 표현했고, 이 파리떼가 보수 유튜버들을 지칭한 것으로 인식됐다.

이 대표도 ‘아니다’라고 해명하지 않았다.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 흘렀다. 유튜버들은 이준석 대표의 퇴출을 말하고 있다. 탄핵 성격이 강한 당원 소환 운동에 불을 지피는 것도 이들 보수 유튜버다. 이준석과 유튜버, 이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겠다. 우리가 제시하는 것은 눈앞 유튜브의 영향력이다. 그리고 그 유튜브가 만들어가는 선거다.

앞서 ‘20대 대선은 유튜브 대선이 될 것이다’라고 예상한 바 있다. 그 예상은 이미 완벽히 맞아 들어갔다. 여기엔 필연적 이유가 있다. 유튜브가 갖고 있는 특징 때문이다. 본질적으로 편파 방송이다. 한 후보 또는 한 진영에 치우친다. 모든 논리, 취재 방향을 몰고 간다. 대선에 임하는 유권자의 표심이 그렇다. 4개월 남았다. 중간지대는 없다. 말 안 하는 표심이 있을 뿐이다. 그들의 편향성을 속 시원히 긁어주는 게 유튜브다.

유튜브로 10만 구독자가 몰린다. 100만명이 보는 유튜브도 있다. 여론 지배력도 이제 공식적으로 커졌다. 거기에 붙는 기업 광고가 이를 증명한다. 이 추세가 계속 간다고 장담할 수 없다. 언젠가 어떤 계기로 급격히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2022년 3월9일까지는 바뀌지 않을 것이다. 20대 대선 일정 내내 계속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또 한 번 예상을 하면 이렇다. ‘많은 유튜브를 흡수하는 쪽이 20대 대통령 선거에 이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