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주요 대학 수시 시작...대학별 전형 본격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나면 수험생 간 치열한 전략 전쟁이 시작된다. 수능 다음 날인 19일부터 숭실대를 시작으로 대학별 논술 및 면접고사가 일제히 치러지기 때문이다.

18일 입시업계에 따르면 수능 다음 날부터 대학별 수시전형 논술 및 면접고시와 정시 전형이 시작된다. 서울 주요 대학의 수시모집 논술ㆍ면접 고사는 수능이 끝난 직후부터 치러지며, 다음 달 5일까지 연세대, 서울대, 건국대, 서울교대, 홍익대 등의 수시모집 전형이 진행된다.

주요 대학 대부분은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활용하며 이 기준을 총족하지 못하면 합격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수시 논술전형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수능 가채점 결과만으로 자신이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했는지 가늠해야 한다.

수시 모집 면접의 경우 서류 기반과 제시문 활용 등 두 가지로 나뉘어 진행된다. 서류 기반 면접은 지원자가 제출한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등을 바탕으로 복수의 면접위원이 서류 내용 중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인성이나 가치관 등을 평가한다. 제시문 활용 면접은 지원자들에게 제시문과 그에 따른 문항이 주어지고 학생들이 일정 시간 동안을 답변을 준비하는 형식으로, 전공 적성과 학업 능력을 평가한다.

수시모집 합격자 발표일은 다음 달 16일이다. 또 같은 달 10일 수능 성적이 통지되면 30일부터 정시모집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올해 정시에서는 작년보다 4천102명 증가한 8만4천175명을 선발한다. 특히 경기ㆍ서울 등 수도권 대학의 정시모집 인원이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수험생들은 수능 성적 발표 전에는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정시에서 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판단해야 한다. 가채점 결과 예상 점수가 낮아 정시에서 원하는 대학을 지원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남은 수시에 집중하고, 수능 예상 성적이 잘 나오면 정시 지원이 유리하므로 수시 지원대학의 면접고사에 참여하지 않아도 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가채점 결과를 현재 수시 지원 대학의 정시 지원 가능 여부뿐 아니라 수시 지원을 포기하고 만족할 수 있는 대학에 정시로 지원할 수 있는지까지 고려해야 한다”면서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이 현재의 수시 지원 대학과 유사한 위치라면 대학별 고사에 응시하는 것이 후회가 덜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민훈ㆍ박문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