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을 포함한 전국 학교가 22일 전면등교를 시작한다. 그러나 경기지역 초등보육 전담사들이 ‘8시간 전일제 전환’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 맞벌이 부부 등 학부모들의 돌봄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1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면등교가 이뤄지고 있는 일부 지방에 이어 22일 수도권 유ㆍ초ㆍ중ㆍ고교로 전면등교가 확대된다. 경기와 인천, 서울 등 수도권 교육청은 과대ㆍ과밀 학교의 경우 탄력적으로 학사운영을 한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수도권 전체 학교 가운데 약 97%가 전면등교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기지역 초등보육 전담사들이 지난 19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면 일부 돌봄교실의 운영이 중단,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등의 돌봄 공백이 현실화되고 있다.
앞서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학비노조) 경기지부는 지난 19일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주차장에 6m 높이의 철제 망루까지 설치해 고공 단식농성에 나서는 등 강경투쟁에 돌입했다. 무기한 총파업 첫날에는 전체 초등돌봄 전담사의 33%인 986명이 참여해 전체 26%인 767개 돌봄교실의 운영이 중단됐다. 이에 도내 곳곳 초등학교에선 돌봄교실 운영 중단으로 학부모들의 불편이 빚어졌다.
학비노조 경기지부는 도교육청이 지난 8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초등 돌봄교실 개선안을 골자로 한 요구를 수용할 때까지 단식농성과 파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최진선 학비노조 경기지부장은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시간제여야만 하는 이유는 비정규직 제도의 모순 때문”이라며 “낡고 고루한 교육청과 교육관료의 사고방식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18일 개선된 방안을 노조 측에 제시해 수용 여부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일선 학교들에는 (파업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이미 발송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확진자가 많은 수도권 지역에선 1천361명 규모의 ‘학교 생활방역 지도점검단’이 구성되는 등 추가 방역 인력이 투입된다. 단계적 일상회복에 맞춰 학교 방역지침도 개정 시행된다.
정민훈ㆍ박문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