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기차 단지 유치 고생 광명·시흥/전북道 지원으로 펄펄 나는 군산시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를 배출하지 않는다. 운행비용이 저렴해 경제적이다. 차량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다. 사고 때 폭발 위험성이 적다. 자택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운전 조작이 간편하다. 얼마나 좋은가. 이게 새 자동차 시장이다. 이 산업이 집결하는 전기차 집적단지다.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요람이다. 이걸 잡는 지역이 융성한다. 이 청사진에 도전한 지역이 있다.

광명ㆍ시흥이다. 안 그래도 지난 30년간 수도 권내 자동차 산업의 요람이었다. 관련 고급 두뇌에 대한 접근성에서 어느 지역보다 우월하다. 때마침 광명ㆍ시흥 3기 신도시가 조성 중이다. 여기에 집적 단지를 넣자는 지역 요구다. 지역민의 총의는 이미 확인됐다. 양기대 의원이 조사한 통계가 있다. 관련 구상에 대해 응답 시민의 70.5%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역 정치권도 한마음이다. 지난 19일 주민 간담회도 개최했다.

국가에도 핵심 산업구조다. 기초자치단체 혼자 뛰어서 될 일이 아니다. 광역 지자체가 함께 뛰어서 중앙 정부를 움직여야 한다. 그래서 절실히 기다리는 게 경기도 협조다. 경기도 국감에서 양기대 의원이 편 것도 그 주장이다. “주민, 지자체, 기아차 회사, 기아차 노조 등도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고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확약했다”며 “경기도가 큰 프로젝트 속에서 진행해야 한다”고 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답은 이랬다.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혜택을 줘야 하는데 그러면 특혜를 줬다고 공격을 한다.” 최첨단 산업을 경기도에 안착시키는 노력에 누가 공격을 한다는 것인지. 그래서일까. 적어도 지금까지 경기도의 역할은 안 보인다.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쉽사리 나서지 못할 사정도 있을 수 있다. 경기도 책임을 섣불리 논하지는 않겠나. 대신 다른 예를 보자.

전북 군산 새만금 산단이다. GM이 철수하면서 철퇴를 맞았다. 미래 먹거리 고민이 심각했다. 거기서 도출된 방향이 있다. 내연기관 차 생산지에서 전기차 집적 단지로의 변신이다. 관련 기술 기업들이 몰리고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끌어들이고 있다. 이를테면 2019년 명신산업이 갔다. 전기차를 생산하겠다고 했다. 160억원의 보조금을 투자받았다. 전북도와 군산이 함께 해준 돈이다. 이러는데 기업이 안 가겠나.

광명ㆍ시흥에 희망이 없는 게 아니다. 늦었지만 경쟁력은 충분하다. 수도권이라는 입지가 곧 재산이다. 고급 두뇌 접근성이 여전히 최고다. 지금부터 해도 최고의 전기차 집적단지를 만들 수 있다. 그러려면 제일 급선무가 경기도의 관심과 지원이다. 전북도와는 비교 안 될 웅도, 경기도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