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육회복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범 운영 중인 ‘선배동행’ 정책이 본궤도에 오르기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정책이 시행되면서 현장에선 짧은 준비기간으로 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데다 대학생 등을 멘토로 지정해 20만원의 비용을 지급하는 것을 두고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선배동행 정책은 도내 초ㆍ중ㆍ고등학교 가운데 한 학교 이상 졸업한 성인이 선배동행자가 돼 재학생인 후배동행자의 일상을 챙기고 고민을 들어주며 조언하는 개별 상담체제로, 전국에서 도교육청만 시행하는 교육회복 프로그램이다. 주로 비대면 1대 1 방식으로 이뤄지며 한 달에 20회 이상 활동한 선배동행자에겐 봉사활동비 20만원이 지급된다.
도교육청은 이달부터 정책 시범 운영에 들어갔으며, 참여 학생 5천명을 기준으로 102억원의 내년 예산을 편성했다.
이런 가운데 도내 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해당 정책의 시행 시점이 적절하지 않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더욱이 정책 시행 초기 업무 분담을 두고 갈등 상황까지 연출된 것은 물론 경기도의회와 학교에서도 정책 실효성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A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촉박하게 진행되다 보니 업무 담당자를 지정하는 과정에서 내부 갈등이 있었다”면서 “시험기간과 겹치는 학교가 많아 학생 모집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B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위기가 있거나 유대 관계를 맺기 어려운 학생들이 아닌 학교 진학이나 선배에게 조언 정도만 받으려는 학생들의 신청이 이어지고 있어, 기획 의도와는 다르게 진행되는 것 같다”면서 “‘프로그램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는 학교 얘기도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현장의 상황도 다르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도내 고교 3학년 부장 C씨는 “학기 말이라 신청하려는 학생이 많지 않다”며 “비용을 지급하면서까지 선ㆍ후배가 교류하는 정책이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주 열린 제356회 경기도의회 정례회 제4차 교육기획위원회 예산 심의에서도 ‘선배동행’ 프로그램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김경근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6)은 “이 프로그램을 보면 일반 상담 절차와 너무 비슷하다”라며 “멘토의 방향이 명확하게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진행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제 막 시작한 사업이라 앞으로 모니터링을 통해 반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 “신규사업에 대한 정책 효과는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연구결과를 보고 나오는 것이지 현재 실효성 지적은 예단하기 이르다”고 밝혔다.
정민훈ㆍ박문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