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동력 확보…환경부 최종 승인

구리시가 하수처리시설 정비기본계획을 환경부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 사진은 구리 하수처리시설 항공사진. 구리시 제공

구리시가 민선7기 수년 동안 집중적으로 추진한 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이 추진동력을 확보했다.

구리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하수도정비기본계획(부분변경)을 환경부(한강유역환경청)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029년까지 수택동에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재건설된다. 해당 시설은 오는 2025년 착공, 하루 10만t 처리 규모로 지하에 건설되며, 지상 13만㎡에는 문화·체육·생태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앞서 해당 시설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 후 결과를 토대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시 하수과를 중심으로 민선7기 수년 동안 사력을 집중해 온 결과다.

이번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골자는 하수처리시설 지하화와 상층부 공원 조성 등이다.

내년부터 예산 확보 및 설계,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시설부지는 주민들에게 돌려줄 계획이다.

지난 1989년 준공돼 32년째 운영 중인 구리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정밀 안전진단 결과 D등급으로 평가되면서 기능 저하에 따른 안정적인 방류수질 준수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함께 시설 노후화로 근로자 안전사고 발생 위험에 상시 노출된데다 악취로 인한 다수의 민원이 발생하는 등 운영상 많은 어려움에 처하면서 엄격한 관리가 요구돼 왔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하류 10㎞ 이내 암사ㆍ한강ㆍ풍납 등 취수원 6곳이 있어 문제 발생 시 수도권 시민의 식수원에 악영향을 줄 우려 또한 높았다.

이 때문에 구리 하수처리시설 재건설 등 현대화사업은 수도권 전체 사정을 감안, 의미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승남 시장은 “이번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부분변경) 승인은 구리시 하수행정의 쾌거로 국비 등 외부 재원을 지원받아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하게 됐다”며 “하수처리시설 지하화를 통해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환경보전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