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무섭다. 신규 확진자수가 이틀 연속 7천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7천102명 늘어 누적 49만6천584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서울 2천785명, 경기 2천136명, 인천 497명 등 수도권에서만 5천418명이다. 위중증 환자도 800명대 중반으로 연일 최다치를 경신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은 57명 늘어 누적 4천77명이다.
경기도에선 지난 8일에도 신규 확진자가 2천268명 나와 이틀 연속 2천명을 넘었다. 확진자 40%는 이제 감염경로도 파악하기 어렵다. 지금이라도 특단의 조치를 내려야 확산세를 꺾을 수 있는데도 정부는 상황을 더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백신 접종률 80%에도 확진자가 폭증해 조만간 1만명을 넘을 것이라니 국민들의 공포감이 크다.
지금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이 나도 위중증이 아니면 병원 치료를 못받는다. 병상ㆍ인력 등 의료대응 여력이 안돼 재택치료를 받아야 한다. 말이 재택치료지, 실상은 자가격리 수준이다. 지난달 말부터 시행중인 재택치료는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당초엔 70세 이하 확진자 중 무증상ㆍ경증 환자만 재택치료를 했으나 병상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확진자 대부분이 재택치료를 받는다. 현재 재택치료자는 2만명에 가깝다.
재택치료 환자에 대해선 지자체와 연계된 병원 의료진들이 매일 환자 상태를 확인하는 게 원칙이지만 허술하다. 위중증으로 악화될 수 있는 확진자들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게 큰 문제다. 최근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가 기존 병원급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 재택치료를 동네병원(의원급)으로 확대하자는 제안을 했다.
현재 재택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병원은 중소병원들인데 의료진이 주기적으로 바뀌어 위중증 악화 징후를 놓칠수 있다. 그 많은 확진자를 관리ㆍ관찰하기도 쉽지 않다. 때문에 지역 단골환자의 특성을 잘 아는 동네병원 의사들을 활용해 재택환자에 대한 모니터링과 진료를 맡기면 치료 연속성을 확보하고 의료진 부하도 덜 수 있다.
코로나19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데 정부 대응은 더디고, 국민 생명을 위협하는 병상 대란은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공공병원·국군병원을 비롯한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 중환자를 우선 치료해야 한다. 전체 병상의 90%를 갖고 있는 민간병원과도 신속히 공조해야 한다. 재택치료자의 경우 동네병원을 활용하는 것은 좋은 방안으로 보인다. 당연히 보상 현실화가 뒤따라야 한다. 의료체계 붕괴를 막을 조치는 빠를수록 좋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