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9년 대비 7.3% 감소했다는 추정 결과가 나왔다(잠정배출량 추정치 6억4천869만t, 2018년 7억2천769만t 대비 10.9% 감소 추정·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지난해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에 따라 예상했던 세계 온실가스 배출감소 추정치와 비슷한 수치다.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충격으로 인한 사회·경제활동의 위축이 가져온 온실가스 배출 감소라는 결과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인간의 행위 변화가 이런 결과를 만들어냈는지 분리해내는 일로 보인다. 역설적으로 재난 상황에서 긍정의 해법을 추출해낸다면 이만한 전화위복이 또 어디 있겠는가.
수원시는 2019년 대비 약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국가 수준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국가와 수원시의 온실가스 배출 정점의 차이(2018년과 2005년)라는 원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수원시가 코로나19 대유행에도 2005년 대비 5.7% 감소에 그친 것은 앞으로 10년을 생각할 때 매우 우려스러운 결과치다.
능동적인 정책 노력과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따로 분리하고 특정하기는 쉬운 작업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다만 무역과 이동과 소비행위와 에너지 소비 등 총량 감소가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가져왔다는 것은 명백해 보인다. 그렇다면 이 ‘총량’ 지표의 하락이라는 대전제 아래에서, 어떻게 사회적 필요를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방법으로 대체할 것인가. 또 이 거대한 대체(전환)가 가져올 사회·경제적인 충격을 ‘기후위기시대’ 적응력을 높이는 필수적인 요소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완화시키는 것은 이제 새로운 시대의 상식이 아니겠는가.
하나만 예를 들어보자. 수원이라는 대규모 소비도시의 특성이 사람의 이동과 자원의 운반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가용 이용이 더욱 늘어 하루 40만대가 훨씬 넘는 통행량을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혁신하고, 그 대중교통도 최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안전하고 쾌적한 수단으로 대체하고, 거기에 사용되는 전력마저 당진과 태안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아닌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전환하는 것은 또 상식이 아니겠는가. 현재 수원시의 전기버스 보급률은 전체 2천대 중 약 180여대로 전국 평균의 5배인 10%에 육박하고 있다. 만약에 이 대중교통을 시민들에게 무상으로 공급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겠는가.
윤은상 수원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